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설계 지반정수 산정

카테고리 없음

by 유태휘수 2024. 11. 1. 09:38

본문

반응형

2.1 A-A 단면

1) 적용주상도(H-1)


2) 토질정수(H-1)

구 분 N치 분포 적용 N
매립층(실트질모래) 8 8
퇴적층(실트질모래) 5 5
퇴적층(실트질점토) 12~13 12
풍화토(N<30) 18 18
풍화토(N>30) 50 50
풍화암 50 50

 

매립층(실트질모래)

N = 8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28.5~30.0 - - [9]
경험식 OHSAKI - 27.6 - - [13]
Peck - 29.4 - -
Dunhum - 24.8 - -
Hukouka - - - 1,600 [17]
적용 1.7 25.0 0.3 1,600 -

퇴적층(실트질모래)

N = 5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28.5~30.0 - - [9]
경험식 OHSAKI - 25.0 - - [13]
Peck - 28.5 - -
Dunhum - 22.7 - -
Hukouka - - - 1,300 [17]
적용 1.7 24.0 0.3 1,300 -

퇴적층(실트질점토)

N = 12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6~1.8 20.0~25.0 1.5~5.0 - [1]
Terzaghi - - 7.5 - [14]
Hukouka - - - 1,800 [17]
적용 1.6 5.0 1.5 1,800 -

풍화토(N<30)

N = 18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0.0~36.0 - - [9]
경험식 OHSAKI - 34.0 - - [13]
Peck - 32.4 - -
Dunhum - 29.7 - -
Hukouka - - - 2,200 [17]
현장시험 - 29.25 1.44 - [15]
적용 1.8 27.0 1.0 2,200 -

 

풍화토(N>30)

N = 50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6.0~41.0 - - [9]
경험식 OHSAKI - 46.6 - - [13]
Peck - 42.0 - -
Dunhum - 39.5 - -
Hukouka - - - 3,300 [17]
현장시험 - 32.21 2.17 - [15]
적용 1.9 30.0 2.0 3,300 -

풍화암

구 분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서울지하철설계기준 2.0~2.4 20.0~45.0 2.0~50.0 - [2]
도로설계실무편람 - 30.0 10.0 - [6]
서울시지반조사편람 2.0~2.2 30.0~35.0 10.0~30.0
[7]
학술발표회 제안값 2.0~2.2 30.0~35.0 3.0~5.0
[8]
현장시험 사례 - 32.15~32.80 3.23~3.33 -
Soletanche - - - 3,500 [그림 1]
적용 2.0 33.0 3.0 3,500

 

설계정수 산정 결과

구 분 N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매립층(실트질모래) 8 1.7 25.0 0.3 1.600
퇴적층(실트질모래) 5 1.7 24.0 0.3 1,300
퇴적층(실트질점토) 12 1.6 5.0 1.5 1,800
풍화토(N<30) 18 1.8 27.0 1.0 2,200
풍화토(N>30) 50 1.9 30.0 2.0 3,300
풍화암 - 2.0 33.0 3.0 3,500

2.2 A-A 단면

1) 적용주상도(H-3)


2) 토질정수(H-3)

구 분 N치 분포 적용 N
매립층(실트질모래) 8 8
퇴적층(실트질모래) 7~26 16
풍화토(N>30) 37~50 45
풍화암 50 50
보통암 - -

 

매립층(실트질모래)

N = 8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28.5~30.0 - - [9]
경험식 OHSAKI - 27.6 - - [13]
Peck - 29.4 - -
Dunhum - 24.8 - -
Hukouka - - - 1,600 [17]
적용 1.7 25.0 0.3 1,600 -

퇴적층(실트질모래)

N = 16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0.0~36.0 - - [9]
경험식 OHSAKI - 32.9 - - [13]
Peck - 31.8 - -
Dunhum - 28.9 - -
Hukouka - - - 1,300 [17]
적용 1.7 26.0 0.3 1,300 -

풍화토(N>30)

N = 45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6.0~41.0 - - [9]
경험식 OHSAKI - 45.0 - - [13]
Peck - 40.5 - -
Dunhum - 38.2 - -
Hukouka - - - 3,200 [17]
현장시험 - 30.28~32.21 2.17~2.38 - [15]
적용 1.8 30.0 2.0 3,200 -

 

풍화암

구 분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서울지하철설계기준 2.0~2.4 20.0~45.0 2.0~50.0 - [2]
도로설계실무편람 - 30.0 10.0 - [6]
서울시지반조사편람 2.0~2.2 30.0~35.0 10.0~30.0
[7]
학술발표회 제안값 2.0~2.2 30.0~35.0 3.0~5.0
[8]
현장시험 사례 - 32.15~32.80 3.23~3.33 -
Soletanche - - - 3,500 [그림 1]
적용 2.0 33.0 3.0 3,500

 

보통암

구 분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서울지하철설계기준 2.6 35~50 5.0~300.0 - [2]
도로설계실무편람 - 35.0 15.0 - [6]
서울시지반조사편람 2.3~2.5 35.0~40.0 60.0~150.0
[7]
Soletanche - - - 7,000 [그림 1]
적용 2.5 35.0 10.0 7,000

 

설계정수 산정 결과

구 분 N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매립층(실트질모래) 8 1.7 25.0 0.3 1,600
퇴적층(실트질모래) 16 1.7 26.0 0.3 1,300
풍화토(N>30) 45 1.8 30.0 2.0 3,200
풍화암 50 2.0 33.0 3.0 3,500
보통암 - 2.5 35.0 10.0 7,000

2.3 B-B 단면

1) 적용주상도(H-5)


2) 토질정수(H-5)

구 분 N치 분포 적용 N
매립층(실트질모래) 8 8
풍화토(N<30) 28 28
풍화토(N>30) 50 50
풍화암 50 50

 

매립층(실트질모래)

N = 8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28.5~30.0 - - [9]
경험식 OHSAKI - 27.6 - - [13]
Peck - 29.4 - -
Dunhum - 24.8 - -
Hukouka - - - 1,600 [17]
적용 1.7 25.0 0.3 1,600 -

 

풍화토(N<30)

N = 28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0.0~36.0 - - [9]
경험식 OHSAKI - 38.7 - - [13]
Peck - 35.4 - -
Dunhum - 33.3 - -
Hukouka - - - 2,600 [17]
현장시험 - 31.72 1.67 - [15]
적용 1.8 27.0 1.0 2,600 -

 

풍화토(N>30)

N = 50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국도건설공사기준 1.7~1.9 25.0~30.0 0.0~3.0 - [1]
Peck - 36.0~41.0 - - [9]
경험식 OHSAKI - 46.6 - - [13]
Peck - 42.0 - -
Dunhum - 39.5 - -
Hukouka - - - 3,300 [17]
현장시험 - 30.28 2.38 - [15]
적용 1.9 30.0 2.0 3,300 -

 

풍화암

구 분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비 고
서울지하철설계기준 2.0~2.4 20.0~45.0 2.0~50.0 - [2]
도로설계실무편람 - 30.0 10.0 - [6]
서울시지반조사편람 2.0~2.2 30.0~35.0 10.0~30.0
[7]
학술발표회 제안값 2.0~2.2 30.0~35.0 3.0~5.0
[8]
현장시험 사례 - 32.15~32.80 3.23~3.33 -
Soletanche - - - 3,500 [그림 1]
적용 2.0 33.0 3.0 3,500

 

 

설계정수 산정 결과

구 분 N 단위 중량
(tf/)
내부 마찰각
(°)
점 착 력
(tf/)
수평지반반력계수
(tf/)
매립층(실트질모래) 8 1.7 25.0 0.3 1.600
풍화토(N<30) 28 1.8 27.0 1.0 2,600
풍화토(N>30) 50 1.9 30.0 2.0 3,300
풍화암 - 2.0 33.0 3.0 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