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석적용 지반강도정수 선정
1. 지반정수 산정 참고자료
1.1 기존문헌 검토
1)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국토교통부, 2013)
[표 1] 흙의 종류에 따른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종 류 | 재료의 상태 | 단위 중량 (tf/m3) |
내 부 마찰각 ø(deg) |
점착력 c(tf/m2) |
분류기호 (통일분류) |
||
흙 쌓 기 |
자갈 및 자갈섞인 모래 |
다진것 | 2.0 | 40 | 0 | GW, GP | |
모 래 | 다진것 | 입도가 좋은 것 | 2.0 | 35 | 0 | SW, SP | |
입도가 나쁜 것 | 1.9 | 30 | 0 | ||||
사 질 토 | 다진것 | 1.8 | 25 | 3 이하 | SW, SC | ||
점 성 토 | 다진것 | 1.8 | 15 | 5 이하 | ML, CL MH, CH |
||
자 연 지 반 |
자 갈 |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 것 | 2.0 | 40 | 0 | GW, GP | |
밀실치 않은 것, 입도가 나쁜 것 | 1.8 | 35 | 0 | ||||
자갈섞인 모래 | 밀실한 것 | 2.1 | 40 | 0 | GW, GP | ||
밀실치 않은 것 | 1.9 | 35 | 0 | ||||
모 래 |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 것 | 2.0 | 35 | 0 | SW, SP | ||
밀실치 않은 것, 입도가 나쁜 것 | 1.8 | 30 | 0 | ||||
사 질 토 | 밀실한 것 | 1.9 | 30 | 3 이하 | SM, SC | ||
밀실치 않은 것 | 1.7 | 25 | 0 | ||||
점 성 토 | 단단한 것 (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조금 들어감, N=8~15) |
1.8 | 25 | 5 이하 | ML, CL | ||
약간 연한 것 (손가락 보통 힘으로 들어감, N=4~8) |
1.7 | 20 | 3 이하 | ||||
연한 것 (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2~4) |
1.6 | 20 | 1.5이하 | ||||
점토 및 실트 | 단단한 것 (손가갈으로 세게 눌러 조금 들어감, N=8~15) |
1.7 | 20 | 5 이하 | CH, MH, ML | ||
약간 연한 것 (손가락 보통 힘으로 들어감, N=4~8) |
1.6 | 15 | 3 이하 | ||||
연한 것 (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2~4) |
1.4 | 10 | 1.5 이하 |
2) 서울지하철 설계 기준
[표 2] 암반의 전단특성 및 단위중량
암반 구분 |
경 암 | 보통암 | 연 암 | 풍화암 | 잔류토 | |
탄성파속도 | 4.5 km/sec이상 | 4.0~4.5 km/sec | 3.5~4.0 km/sec | 3.5 km/sec 이상 | 2.0 km/sec 이하 | |
암질상태 | 경도가 아주 좋고 균열이 적고 풍화변질이 안된 상태 |
균열 및 절리가 다소 발달되어 있으며, 풍화가 안된 상태 |
풍화작용으로 암상에 층리 및 절리가 발달되어 있는 암체로서 파쇄질임 |
물리 화학적 교대작용으로 파쇄대가 발달되어 있는 상태로 다소의 단층이 포함되어 점토질이 많이 발달되어있는 암상 | 완전풍화되고 암의 조직이 보존되어 있으나 토사화됨 |
|
관찰에 의한 판정 | 망치가 튕겨나옴. 강하게 치면 신선한면으로 갈라짐 | 강하게 치면 균열면이나 절리면을 따라 크게 갈라짐 | 망치로 쉽게 갈라지며, 쉽게 균열면으로 갈라짐 |
망치로 쉽게 부서지며, 망치가 아니더라도 쉽게 부서짐 | 손으로 문지르면 쉽게 부서짐 | |
코 아 상 태 |
채취율 | 90% 이상 | 70% 이상 | |||
균열상태 | 주상코아 | 다소의 세편 포함 | 다량의 세편 포함 | 세편을 이루고 있음 | ||
암 괴 | 20cm이상 | 5cm 이상 | 5cm 이하, 세편 | |||
점착력 (tf/㎡) | 10~500 | 5~300 | 2.5~200 | 2~50 | 0.5~50 | |
내부마찰각 (deg) |
35~50 | 35~50 | 25~50 | 20~45 | 20~45 | |
단위중량(tf/㎥) | 2.6~2.7 | 2.6 | 2.5~2.56 | 2.0~2.4 | 1.8~2.2 |
3) Bowles (1970)
[표 3] 흙의 종류에 따른 단위중량
흙의 종류 | 흙의 상태 | 간극률(%) | 간극비 | 단위중량(tf/㎥) | ||
건조 | 전체 | 포화 | ||||
모래질 자갈 | 느슨 | 38~42 | 0.61~0.72 | 1.4~1.7 | 1.8~2.0 | 1.9~2.1 |
촘촘 | 18~25 | 0.22~0.33 | 1.9~2.1 | 2.0~2.3 | 2.1~2.4 | |
거친모래, 중간모래 | 느슨 | 40~45 | 0.67~0.82 | 1.3~1.5 | 1.6~1.9 | 1.8~1.9 |
촘촘 | 25~32 | 0.33~0.47 | 1.7~1.8 | 1.8~2.1 | 2.0~2.1 | |
균등한 가는모래 | 느슨 | 45~48 | 0.82~0.82 | 1.4~1.5 | 1.5~1.9 | 1.8~1.9 |
촘촘 | 33~36 | 0.49~0.56 | 1.7~1.8 | 1.8~2.1 | 2.0~2.1 | |
거친 실트 | 느슨 | 45~55 | 0.82~1.22 | 1.3~1.5 | 1.5~1.9 | 1.8~1.9 |
촘촘 | 35~40 | 0.54~0.67 | 1.6~1.7 | 1.7`~2.1 | 2.0~2.1 | |
실트 | 연약 | 45~50 | 0.82`~1.22 | 1.3~1.5 | 1.6~2.0 | 1.8~2.0 |
중간 | 35~40 | 0.54~0.67 | 1.6~1.7 | 1.7~2.1 | 2.0~2.1 | |
견고 | 30~35 | 0.43~0.49 | 1.8~1.9 | 1.8~1.9 | 1.8~2.2 | |
소성이 작은 점토 | 연약 | 50~55 | 1.00~1.22 | 1.3~1.4 | 1.5~1.8 | 1.8~2.0 |
중간 | 35~45 | 0.54~0.82 | 1.5~1.8 | 1.7~2.1 | 1.9~2.1 | |
견고 | 30~35 | 0.43~0.54 | 1.8~1.9 | 1.8~2.2 | 2.1~2.2 | |
소성이 큰 점토 | 연약 | 60~70 | 1.50~2.30 | 0.9~1.5 | 1.2~1.8 | 1.4~1.8 |
중간 | 40~55 | 0.67~1.22 | 1.5~1.8 | 1.5~2.0 | 1.7~`2.1 | |
견고 | 30~40 | 0.43~0.67 | 1.8~2.0 | 1.7~2.2 | 1.9~2.3 |
4) LH공사 설계지침 (2016.02)
[표 4] 재료의 단위중량
종 별 | 중 량 (kN/m3) | 비 고 |
점 질 토 | 16.0 | 보통의 것, 자연상태 |
일반토사 | 17.0 | 자연상태 |
모 래 | 16.0 | 건조, 자연상태 |
풍 화 암 | 20.0 | 자연상태 |
연 암 | 23.0 | 〃 |
보 통 암 | 24.0 | 〃 |
경 암 | 26.0 | 〃 |
호 박 돌 | 19.0 | 〃 |
조약돌, 깬잡석 | 17.0 | 〃 |
5) 표준품셈 (2016)
[표 5] 토질별 단위중량
종 별 | 형 상 | 중 량(kN/m3) | 비 고 |
암 석 | 화 강 암 안 산 암 사 암 현 무 암 |
26.0 ~ 27.0 23.0 ~ 27.1 24.0 ~ 27.9 27.0 ~ 32.0 |
자연상태 〃 〃 〃 |
자 갈 | 건 조 습 기 포 화 |
16.0 ~ 18.0 17.0 ~ 18.0 18.0 ~ 19.0 |
〃 〃 〃 |
모 래 | 건 조 습 기 포 화 |
15.0 ~ 17.0 17.0 ~ 18.0 18.0 ~ 20.0 |
〃 〃 〃 |
점 토 | 건 조 습 기 포 화 |
12.0 ~ 17.0 17.0 ~ 18.0 18.0 ~ 19.0 |
〃 〃 〃 |
점 질 토 | 보 통 력이 섞인 것 력이 섞이고 습한 것 |
15.0 ~ 17.0 16.0 ~ 18.0 19.0 ~ 21.0 |
〃 〃 〃 |
6) 도로설계실무편람 (한국도로공사, 2009)
[표 6] 암반의 전단강도
구 분 | 암반파쇄상태 | 전단강도 | |||
T.C.R(%) | R.Q.D(%) | 내부마찰각(°) | 점착력(tf/m²) | ||
풍화암, 연․경암으로 파쇄가 극심한 경우 |
- | 20 이하 | 10 이하 | 30 | 10 |
강한 풍화암으로서 파쇄가 거의 없는 경우와 대부분의 연․경암 |
연 암 | 20~30 | 10~25 | 33 | 13 |
보통암 | 40~50 | 25~35 | 35 | 15 | |
경 암 | 70이상 | 40~50 | 40 | 20 |
7) 서울지역의 지반별 강도정수 (서울시 지반조사편람, 2006)
지반명 | 단위중량 γt (tf/m3) |
점착력 c (tf/m2) |
내부마찰각 φ (o) |
변형계수 D (x103tf/m2) |
포아송비 ν |
비 고 |
풍화토 | 1.7~2.0 | 0.0~10.0 | 25~30 | 2.0~4.0 | 0.5 | |
풍화암 | 2.0~2.2 | 10.0~30.0 | 30~35 | 10.0~20.0 | 0.3~0.4 | |
연 암 | 2.3~2.5 | 30.0~60.0 | 30~40 | 20.0~40.0 | 0.25~0.30 | |
보통암 | 2.4~2.6 | 60.0~150.0 | 35~40 | 40.0~100.0 | 0.25 | |
경 암 | 2.5~2.7 | 150.0~200.0 | 35~45 | 100.0~400.0 | 0.2 | |
극경암 | 2.6~2.7 | 200.0~500.0 | 40~45 | 400.0~800.0 | 0.2 | |
주) 이 표는 그동안의 지하철 설계적용사례를 기준으로 정리된 것이므로 참고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설계시는 개개 현장에서 수행된 시험결과를 적용하여야 한다. |
8) 학술발표내 제안값
[표 8] 학술발표 내 제안값
구 분 | 단위중량(kN/㎥) | 점착력(kPa) | 내부마찰각(゚) | |
지반공학회 학술발표회 |
풍화암 | 20.0~22.0 | 30.0~50.0 | 30.0~35.0 |
연 암 | 23.0~25.0 | 100~1,200 | 35~45 |
9) Peck and Meyerhof (1956)
[표 9] N값과 모래의 상대밀도 및 내부마찰각 관계
N값 | 연경도 | 상대밀도 (Dr, %) |
내부마찰각(Φ) | |
Peck | Meyerhof | |||
0~4 | 매우느슨 | 0.0~15 | 28.5 이하 | 30 이하 |
4~10 | 느슨 | 15~35 | 28.5~30.0 | 30~35 |
10~30 | 중간 | 35~65 | 30.0~36.0 | 35~40 |
30~50 | 조밀 | 65~85 | 36.0~41.0 | 40~45 |
50이상 | 매우조밀 | 85~100 | 41.0 이상 | 45 이상 |
10) Barton (1973)
[표 10] 여러 암석들에 대한 기본마찰각 Φ의 개략적인 값
암 석 명 | Φ ( °) | 암 석 명 | Φ ( °) |
각 섬 암 | 32 | 화강암(조립질) | 31~35 |
현 무 암 | 31~38 | 석 회 암 | 33~40 |
역 암 | 35 | 반 암 | 31 |
백 암 | 30 | 사 암 | 25~35 |
백 운 암 | 27~31 | 셰 일 | 27 |
편마암(편암질) | 23~29 | 미 사 암 | 27~31 |
화강암(세립질) | 29~35 | 점 판 암 | 25~30 |
11) Rock Slope Engineering (Hoek & Bray, 1981)
[표 11] 토질 및 암석에 따른 지반정수
설 명 | 단위중량 (포화상태/건조상태) |
마찰각 ( °) |
점착력 | ||||
종 류 | 재 료 | 1b/ft3 | kN/m3 | 1b/ft2 | kN/m2 | ||
점 착 력 이 없 는 물 질 |
모 래 |
느슨한 모래, 고른 입자크기 | 118/90 | 19/14 | 28~34* | ||
조밀한 모래, 고른 입자크기 | 130/109 | 21/17 | 32~40* | ||||
느슨한 모래, 혼합된 입자크기 | 124/99 | 20/16 | 24~40* | ||||
조밀한 모래, 혼합된 입자크기 | 135/116 | 21/18 | 38~46* | ||||
자 갈 |
자갈, 고른 입자크기 | 140/130 | 22/20 | 34~37* | |||
모래와 자갈, 혼합된 입자크기 | 120/110 | 19/17 | 48~45* | ||||
발 파 / 파 쇄 암 석 |
현 무 암 | 140/110 | 22/17 | 40~50* | |||
백 악 | 80/62 | 13/10 | 30~40* | ||||
화 강 암 | 125/110 | 20/17 | 45~50* | ||||
석 회 암 | 120/100 | 19/16 | 35~40* | ||||
사 암 | 110/80 | 17/13 | 35~45* | ||||
셰 일 | 125/100 | 20/16 | 30~35* | ||||
점 착 력 이 있 는 물 질 |
점 토 |
연한 벤토나이트 | 80/30 | 13/6 | 7~13 | 200~400 | 10~20 |
아주 연한 유기질 점토 | 90/40 | 14/6 | 12~16 | 200~600 | 10~30 | ||
연한, 약간의 유기성 점토 | 100/60 | 16/10 | 22~27 | 400~1,000 | 20~50 | ||
연한 빙하 점토 | 110/76 | 17/12 | 27~32 | 600~1,500 | 30~70 | ||
굳은 빙하 점토 | 130/105 | 20/17 | 30~32 | 1,500~3,000 | 70~150 | ||
빙하 점토, 혼합된 입자크기 | 145/130 | 23/20 | 32~35 | 3,000~5,000 | 150~250 | ||
암 석 |
견고한 화성암... | ** | 720,000 ~ | 35,000 ~ | |||
화강암, 현무암, 반암 | 160~190 | 25~30 | 35~45 | 1,150,000 | 55,000 | ||
변성암... | 400,000 ~ | 20,000 ~ | |||||
규암, 편마암, 점판암 | 160~180 | 25~28 | 30~40 | 800,000 | 40,000 | ||
견고한 퇴적암... | 200,000 ~ | 10,000 ~ | |||||
석회암, 백운석, 사암 | 150~180 | 23~28 | 35~45 | 600,000 | 30,000 | ||
연약한 퇴적암... | 20,000 ~ | 1,000 ~ | |||||
사암, 석탄, 백악, 셰일 | 110~150 | 17~23 | 25~35 | 400,000 | 20,000 |
12) 점성토의 일반적 특성 (Hunt, 1984)
[표 12] 점성토의 일반적 특성
연경도 | N | Hand Test | rsat (kN/m3) |
qu (kN/m2) |
C (=qu/2) (kN/m2) |
고 결 | > 30 | 손으로 누르기 어려움 | > 20.0 | > 400 | > 200 |
매우 견고 | 15 ~ 30 | 엄지손톱으로 눌러짐 | 20.8 ~ 22.4 | 200 ~ 400 | 100 ~ 200 |
견 고 | 8 ~ 15 |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짐 | 19.2 ~ 20.8 | 100 ~ 200 | 50 ~ 100 |
중 간 | 4 ~ 8 | 강한 압력으로 성형됨 | 17.6 ~ 19.2 | 50 ~ 100 | 25 ~ 50 |
연 약 | 2 ~ 4 | 약한 압력으로 성형됨 | 16.0 ~ 17.6 | 25 ~ 50 | 12.5 ~ 25 |
매우 연약 | < 2 |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감 | 14.4 ~ 16.0 | 0.0 ~ 25 | 0.0 ~ 12.5 |
1.2 경험식 검토
1) N치와 내부마찰각(φ)의 관계(구조물기초설계기준해설, 2015)
[표 13] N치와 내부마찰각(φ)의 관계(Dunham, Peck, 오자끼)
제 안 | 내부마찰각(φ) | 비 고 | |
Dunham | -Dunham의 정수항 ․둥근입자로 일정한 입경의 것 ․둥근입자로 입도분포 양호 모난 입자로 일정한 입경의 것 ․모난 입자로 입도분포가 양호 |
: 15 : 20 : 25 |
|
Peck | |||
오자끼 |
2) N치와 점착력(c)의 관계(지반공학시리즈 - 굴착 및 흙막이 공법, 2003)
[표 14] N치와 점착력(c)의 관계
제 안 자 | 일축압축강도(kN/m2) | 점착력(kN/m2) | |
Terzaghi-Peck(1948) |
1.3 현장 및 실내시험
[표 15] 현장시험(공내전단시험)
공 번 | 심도(m) | N값 | 지층명 | 공내전단시험 | |
내부마찰각(゚) | 점착력(kPa) | ||||
H-1 | 4.0 | 18/30 | 풍화토 | 29.25 | 14.40 |
5.0 | 50/18 | 풍화토 | 32.21 | 21.70 | |
7.0 | 50/7 | 풍화암 | 33.74 | 30.80 | |
H-5 | 1.0 | 28/30 | 풍화토 | 31.72 | 16.70 |
2.0 | 50/12 | 풍화토 | 30.28 | 23.80 | |
5.0 | 50/5 | 풍화암 | 32.78 | 28.80 | |
H-7 | 3.0 | 25/30 | 풍화토 | 31.47 | 17.60 |
5.0 | 50/12 | 풍화토 | 31.13 | 22.20 | |
범위 | N<30 | 풍화토 | 29.25~31.72 | 14.40~17.60 | |
N≥30 | 풍화토 | 30.28~32.21 | 21.70~23.80 | ||
- | 풍화암 | 32.78~33.74 | 28.80~30.80 |
1.4 수평지반반력계수 (Kh)
1) Bowles (1996)
[표 16] Representative range of values of lateral modulus of subgrade reaction
Soil‡ | ks, kcf | ks, MN/m3 |
Dense sandy gravel | 1400 ~ 2500 | 220 ~ 400 |
Medium dense coarse sand | 1000 ~ 2000 | 157 ~ 300 |
Medium sand | 700 ~ 1800 | 110 ~ 280 |
Fine or silty, fine sand | 500 ~ 1200 | 80 ~ 200 |
Stiff clay (wet) | 350 ~ 1400 | 60 ~ 220 |
Stiff clay (saturated) | 175 ~ 700 | 30 ~ 110 |
Medium clay (wet) | 250 ~ 900 | 39 ~ 140 |
Medium clay (saturated) | 75 ~ 500 | 10 ~ 80 |
Soft clay | 10 ~ 250 | 2 ~ 40 |
‡ Either wet or dry unless otherwise indicated
2) Hukuoka법
[표 17] Hukuoka법에 의한 수평지반반력계수
구 분 | HUKUOKA | ||||
N | Kh(tf/m ) | N | Kh(tf/m ) | N | Kh(tf/m ) |
1 | 691 | 21 | 2378 | 41 | 3121 |
2 | 916 | 22 | 2424 | 42 | 3151 |
3 | 1076 | 23 | 2468 | 43 | 3182 |
4 | 1213 | 24 | 2511 | 44 | 3212 |
5 | 1328 | 25 | 2553 | 45 | 3241 |
6 | 1430 | 26 | 2594 | 46 | 3270 |
7 | 1523 | 27 | 2634 | 47 | 3299 |
8 | 1607 | 28 | 2673 | 48 | 3327 |
9 | 1686 | 29 | 2712 | 49 | 3355 |
10 | 1760 | 30 | 2749 | 50 | 3383 |
11 | 1829 | 31 | 2786 | ||
12 | 1895 | 32 | 2822 | ||
13 | 1958 | 33 | 2858 | ||
14 | 2017 | 34 | 2892 | ||
15 | 2075 | 35 | 2927 | ||
16 | 2130 | 36 | 2960 | ||
17 | 2183 | 37 | 2993 | ||
18 | 2234 | 38 | 3026 | ||
19 | 2284 | 39 | 3058 | ||
20 | 2332 | 40 | 30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