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CTV설비 관급시방서

카테고리 없음

by 유태휘수 2024. 10. 31. 15:32

본문

반응형

 

. 일반 시방서

1. 개요

. 본 시방서는 영상감시장치 구매·설치에 적용하는 일반사항으로서 제반규정과 관련 다음의 기술기준에 의하여 구매, 설치 및 공사함을 원칙으로 하며 사업기간 중에 관계법령이 개정되었을 경우에는 개정된 법령에 따른다.

 

. 규격서, 설계서상의 불합리한 점이나 문구, 용어해석에 대하여 발주기관과 의견을

달리할 경우에는 발주기관의 해석 및 지시에 따라야 하며, 본 시방서 및 설계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일지라도 구축상, 구조상, 외관상, 시스템 구성상 필요한 사

항은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2. 적용법규 및 기술기준

.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한국산업표준규격(KS)

. 개인정보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 전기통신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 공공기관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 전기통신설비 기술기준

. 전기공사업법 및 동 시행령, 동시행규칙

. 정보통신공사업법 및 동 시행령, 동시행규칙

.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 기술 기준령

.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 전파법 및 동 시행령, 동시행규칙

. 기타 이에 준하는 법령

3. 계약상대자의 자격 및 의무

3.1 계약상대자의 자격 << 다음의 자격을 모두 갖춘 자 >>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3(입찰의 참가자격) 및 동법시행규칙 제14조에 의한 소정의 자격을 갖추고, 정보통신공사업면허(0036)와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제24조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자(컴퓨터관련서비스사업,1468) 신고를 필한 업체

 

3.2 계약자의 의무

(1) 감독공무원 (감독관)

- 감독관이라 함은 제작설치의 계약이행을 감독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담당과장이 임명한 공무원으로서 감독업무를 위임받은 공무원을 말한다.

. 계약자가 납품설치에 관한 통지, 연락, 보고 등을 할 경우에는 감독관을 경유한다.

. 계약자는 감독관의 의사를 존중하고 항상 긴밀히 협의하여 공급설치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2) 사업수행 지침

. 착공계 제출

- 계약자는 계약일로부터 7일 이내에 다음사항이 포함된 착공계를 제출하여야 한다.

1) 착공계 2

2) 예정공정표 2

3) 계약내역서 2

4) 자재승인서(시방서 기준에 의한)

5) 기타 감독관이 지정하는 서류 등 2

. 현장조사 실시 및 장비 구매, 설치 승인도면 제출

1) 계약자는 계약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설치현장을 조사하고 계약일로부터 5

이내에 다음사항이 포함된 승인도면을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 분야별시스템 구축계획

) 각 세부장비별 사양, H/W S/W의 구성, 치수, 색상, 크기, 방식 등 구축에

필요한 모든 사항

) 각종 시스템 카다로그 및 기타 특이사항

2) 발주기관은 승인도면이 제출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검토의견이 포함된 검토의견서를

계약자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위 기간내에 통보되지 않을 경우 자동 승인된 것으로

간주한다.

 

 

(3) 시스템 구축 및 설치

. 시스템 구축 및 설치에 수반되는 모든 비용은 계약자 부담으로 한다.

. 시스템 구축 및 설치 중 발생하는 사고나 인체의 손상 또는 제3에게 미치는

피해의 발생시 즉시 응급조치를 취하고 감독공무원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작업

중 발생하는 일체의 사고 및 피해에 대하여 계약자가 책임을 진다.

. 상황 감시 장비의 연계에 필요한 각종 상용망 연결, 상용전원 인입에 수반되는

모든 비용은 계약자부담으로 한다. 다만 월 사용료는 수요기관 부담으로 한다.

 

(4) 사업시행

. 계약자는 승인된 예정공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 본 사업은 사업계획서 및 시방서에 준하여 사업를 시행하되 사업계획서 및 시방

서에 명기하지 않은 사항이라도 현장 사정상 필요로 하는 것은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 작업진척이 예정공정보다 지연되었을 시에는 감독관 지시에 따라 인력과 장비를

추가 등 공사추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계약자는 계약서류에 특히 지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업시행에 따라 생기는

모든 민사형사상 책임을 져야 한다.

. 계약자는 준공검사 완료시까지 작업시설물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 손상을 받은 작업부분 또는 표준이하 시공부분은 계약이 요구하는 대로 감독관이

만족할 때까지 계약자가 대체 또는 복구하여야 한다.

. 사업계획서 및 시방서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공법상 당연히 요하는 사항은

계약자 부담으로 시행해야 한다.

 

(5) 사업의 관리

. 현장대리인

현장대리인은 사업수행에 필요한 제반 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어야 하며 감독관

의 지시에 따라 각종 업무와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을 담당해야 한다.

 

. 작업시간

- 계약자는 현장여건에 따라 작업시간의 연장, 단축 또는 야간작업이 필요하거나

감독관의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 안전조치

1) 작업장내에서는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작업에 임하여

한다.

2) 계약자는 시스템 구축 및 설치 중 발생하는 사고나 인체의 손상 또는 제3

에게 미치는 피해의 발생시 즉시 응급조치를 취하고 감독공무원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작업중 발생하는 일체의 사고 및 피해에 대하여 계약자는 원상복구 및

피해보상의 책임을 져야 한다.

 

. 자료 및 보안관리

1) 본 사업수행으로 인하여 지득한 사업내용 등 일체의 보안사항은 사업수행중은 물론

사업종료 후에라도 누설해서는 안된다.

2) 인원 및 보안관리

) 계약자는 보안 및 안전관리에 책임을 져야 한다.

) 본 사업과 관련하여 시설물에 출입시는 감독관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주요공정

은 감독관 입회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 공정관리

1) 현장대리인은 작업이 있을 경우 작업일지를 작성하여 해당 수요기관의 감독관에게

확인을 받아야 하며 예정공정표 및 세부수행계획서에 의하여 공정진도를 수시로 점검

하여야 한다.

2) 공정진도가 계획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진하다고 판단되거나 감독관의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 투입인력을 최대한 보강하여 공정에 차질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 제보고

1) 정기보고

- 공사 계약후 5일을 기준하여 다음사항이 포함된 사업수행 공정을 작성 하여

당월 20일까지 서면으로 작성, 수요기관별로 보고하여야 한다.

) 사업추진내역 및 향후추진계획

) 사업추진상의 현안 문제점 및 대책

) 기타 감독관의 지시사항에 대한 조치결과 등

2) 수시보고 및 협의

- 사업수행과 관련된 타 기관의 협조요청사항 및 주요현안사항 등은 수시로

협의하여야 하며, 협의된 내용은 회의록으로 작성하고 그 결과를 서면으로 수요

기관에 보고하여야 한다.

 

. 사업의 변경 등

1) 설계변경

- 사업시행 중에 현장여건의 변동으로 설계변경이 요구될 경우 감독관과 협의하고,

사업주관기관 및 수요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사업의 중단 등

- 다음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발주기관의 지시에 의하여 사업의 내용을 변경

하거나 사업기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 수요기관에 의하여 사업전체에 관련된 중대한 변경 사유가 한 경우

) 천재지변으로 작업이 불가능할 경우

 

(6) 시스템 준공

. 영상감시시스템의 설치등 계약사항을 모두이행한 후 정상가동된 시점에 즉시

시운전을 실시하여야하며, 시운전 기간동안 이상이 없을 경우 준공한다.

. 발주기간 또는 수요기간의 불가피한 사정 등에 의해 준공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7) 준공서류

. 계약자는 작업 진행에 따라 다음사항이 포함된 사진첩을 수요기관별 작성, 완료

검사시 2부를 수요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작업착수 전, 후의 현장사진

2) 제작 및 설치공사의 주요사항

3) 완공후 육안에 의한 검사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공정

4) 작업완료 후 준공현황

5) 감독관이 촬영을 지시한 사항

6) 사진의 크기는 4× 5이상으로 하여 공정순서별로 촬영일자, 설명

등이 기재되어야 한다.

 

(8) 위반행위에 대한조치

- 다음과 같은 위반행위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계약위반행위로 간주하여관계규정에

의하여 조치할 수 있다.

. 제반 지시사항을 기한 내에 성실히 이행하지 않을 때

. 계약기간 내에 완료할 능력이 없다고 인정되거나 현저하게 공정이 미달될 때

. 사업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못하거나 부주의로 인한 과실이 인정될 때

. 보안과 관련된 사항을 위반하였을 때

 

(9) 성과품의 소유권

- 본 사업수행과정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등의 성과품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

권은 수요기관에 있으며, 계약자는 소유권이나 저작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

 

(10) 하도급

- 본 사업에 대한 특정분야의 전문적인 기술 지원이 필요하거나 외주제작 등으로

하도급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사전에 하도급에 필요한 서류 등을 수요기관에 제출

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11) 분쟁의 해결

- 본 사업 수행중 발생한 계약자와 사업주관기관 또는 수요기관 간의 분쟁으로 소송이

제기되었을 경우 소송법원은 사업주관기관이 소재한 관할 법원으로 한다.

 

(12) 특허권의 사용 등

- 본 사업수행에 있어 제3자의 권리대상으로 되어있는 특허 또는 비 특허설계, 발명

사항 등을 사용할 때에는 계약자가 그 권리사용에 대한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4. 유지보수

(1) 운용 및 유지관리 지침

- 계약자는 재난예방 감시시스템의 수요기관별 유지관리지침서를 작성, 2부씩을 공사

준공시에 제출하여야 하며, 운용 및 유지관리지침서는 본 계약에 의하여 공급되는 설비에

운용되는 것이어야 하고 다음과 같은 충분한 내용이 기술되어야 한다.

 

. 시스템의 구조, 기능과 정비사항

. 주기적 검사를 위한 권고사항

. 고장진단

. 주요도면

 

(2) 하자보수

. 공급설치된 모든 제품은 준공 후 1년간 무상하자보증을 실시하여야 하며,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즉시 조치하여야 한다.

. 공급된 장비,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정기적인 예방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며 수시 지원 요청 시 즉시 응하여야 한다.

. 하자보증기간 중 부품의 이상, 하자, 자연적 고장 발생시 계약자의 일체부담으로 보수

정비 또는 동종의 기기로 교환하여야 한다.

 

5. 종합 시운전

- 계약자는 종합시운전 시험에 참여하여 시스템간 상호 계통적으로 연동이 되는가를 확인하고, 연동중 상호 인터페이스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즉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그 비용은 계약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 종합 시운전중 발생한 문제점은 준공 전까지 해결하여야 하며 개통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6. 교육훈련

- 영상감시시스템을 운영요원이 계약자의 지원 없이도 시스템을 운영하고 모든 시스템의 운영, 응급조치 등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계약자는 해당 시스템의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7. 기술일반사항

 

(1) 사용재료 및 제작기술

. 모든 기자재는 부속품의 검사 또는 교체 시 적절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 모든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기능은 계약에 명시한 규격서 조건에 일치하고

시스템 종합성능 발휘와 수행업무 처리가 완전해야 하며, 기자재는 최신기술에 입각

하여 제작 및 공급해야 한다.

. 공급설비는 현지의 강풍, 강우 및 추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 하여야

한다.

. 옥외에 사용되는 함체 및 볼트류 는 Stainless 또는 녹슬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필요시 옥외 장치에는 Heater Blower 등을 구비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 기자재의 설계, 재료선택 및 제작기술은 KS 규격 또는 기관/협회에서 제시한 동등

규격 이상이어야 한다.

. 계약서 기술사항에 자세한 언급이 없더라도 개념이 정의된 사항은 시스템 동작 및 성능

을 완전하게 발휘하는데 필요한 부수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를 계약자가 책임지고

공급해야 한다.

. 각 장치 그룹별 상세 사용재료 및 제작기술은 시방서 및 규격서의 요구에 따라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한다.

 

(2) 전기적인 설계 요구 조건

. 계약자는 설비 설계시 간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정격의 ±10% 전압강하를 보전

할 수 있도록 장치의 설계에 반영할 책임을 진다.

. 각 장치는 설치현장의 주위환경에 신뢰성과 안정성 등 기능 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 장치구성

. 각 장치에 포함된 구성품은 단위 구성품별 구매가 가능하여야 한다.

. 각각의 구성품 간 연결부와 Jack, Plug등 탈착 이 빈번한 부위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

을 사용하여야 한다.

. 모든 기자재는 교체시 적절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동일 품질과

비교하여 최고의 품질을 유지하여야 한다.

. 기기의 퓨즈, 브레이크 스위치 등은 보수에 편리하고,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취부

되어야 하며, 잠금 장치가 된 Local Unit Box내에 취부되어야 한다.

 

(4) 케이블 접속 및 성단

. 터미널에 결선되는 Wire는 터미널 러그를 사용하여 가능한 접촉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여야 한다.

. 터미널 블럭은 전압별, 용도별로 분리되어야 하고, 외부로 나가는 Wire는 공통

터미널 블럭에서 함께 정리하여야 하며, 사용량에 대한 5% 이상의 스페어 터미널

이 있어야 한다.

. 동일 터미널에 여러 가닥의 Wire가 연결되는 터미널은 각기 별개의 터미널을 이용

하되 Jumper선으로 배선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 옥외 시설품목에 대해서는 방습 및 설치현장의 Surge 전압, 진동, 수분 등 환경조건

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한다.

 

(5) 구조물 설치

. 카메라 폴은 설치 시 설치장소별로 구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카메라 폴을 설치할 경우 설치할 지역의 지대 상태와 카메라 폴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장비의 안전을 위하여 함체 접지를 시행한다.

. 폴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우며, 앵커 볼트와 폴은 와셔와 너트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한다.

. 함체 내부에는 전원 ON/OFF를 할 수 있는 차단기가 설치되어야 하고 콘센트를 설치하여 장비의 전원공급이 원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함체내부에 수납되는 장비는 Rack Type 또는 모듈 Type으로 볼트와 너트를 통해 단단히 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 함체 하단부에는 외부와의 전원/통신선 연결을 구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장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함체의 접지는 100이하 접지로 구성한다.

. 함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고려하여 장비를 배치한다.

.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은 전원 차단기를 거처 전원용 서지보호기를 통하도록 설치한다.

 

(6) 기기의 설치

. 적용범위

1) 기자재의 설치 및 이를 위한 현장조사, 제반 기초 시설설치

2) 구멍 뚫기, 각종 배관배선, 부대품 준비, 콘크리트 타설, 터파기, 되메우기, 피뢰접지

설치, 각종 기기의 설치와 기타 부착물들을 견고히 부착시키는데 필요한 제반작업

3) 모든 기기는 도면과 현장여건을 확인하고서 적정한 위치에 표시작업을 한 후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4) 도면과 불일치하거나, 시공상 원 설계 내용대로 시공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감독

공무원과 협의 후 발주처의 변경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 설치조건

1) 설치일반

) 공급하는 기자재를 포함한 모든 제품은 본 시방서와 감독공무원의 지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기자재의 설치 및 전체 설비의 상호 연결하는 경우 다른 설치에 장애가 없도록 하

여야 하며, 사전에 충분한 기술적인 제반 계획을 수립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 제작설비의 설치위치 및 선로의 루트는 감독공무원과 협의하여 사전에 결정하

여야 하며, 승인을 득 하여야 한다.

2) 기기 위치

) 배선과 케이블 루트는 기기의 구조, 조건, 간섭 여부, 전기 종단 위치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며, 운전과 유지관리 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 현장 여건 상 위치나 배치의 합리적 변경이 필요하거나 발주처가 위치변경

을 요구하는 경우 계약자는 이에 대한 제반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 기기 위치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야 하며, 조명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 기기 기초가 콘크리트일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앵커볼트의 구멍을 확보하여야

한다.

) 습기, 부식성 가스, 가연성 가스, 진동, 침수 등의 위험이 없는 장소를 선택하여

야 하며, 부득이 상기의 악조건 하에서도 기기 설치를 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

감독공무원과 협의하여 보안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 배관, 케이블 및 현장배선

- 배관 시공은 설계도면에 의하여 시공하고,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현장

여건, 건물의 구조 및 위치 등을 고려하여 배선설치를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4) 보조장치

) 계약자는 특수한 경우의 보조장치 설치와 접속에 대하여 감독공무원과 충분히

협의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 설치방법을 포함한 추가 내용의 변경서류를 시공 전에 발주처에 제출하여 승인을

득 하여야 한다.

 

(7) 배관배선 작업

. 개요

- 기기간의 배선, 접속 및 배관작업은 본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서 발진, 잡음, 혼신, 음량부족, 음질불량, 화질불량 혹은 기기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설계도면의 배관 및 배선도를 기준으로 확실히 숙지한 후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 배관배선 작업 일반

- 계약자는 모든 현장설치 구성 품과 조립품을 아래 조건에 따라 설치 연결하도록

하여야 한다.

1) 본 설치의 배관배선에 관한 사항은 전기통신 옥내옥외 배선설치의 규정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2) 설치 작업자에게 현장여건, 설치조건 및 특수상황 등에 대하여 교육시켜야 한다.

3) 계약자의 현장대리인 또는 기술자는 시공 전에 설치 작업자에게 반드시 기술교육

또는 기술지원을 하여야 한다.

4) 설치작업자에게 승인 제작도면과 설치에 필요한 자료 전체를 제공하여야 한다.

5) 옥내외에 포설하는 케이블은 가능한 배관을 사용하여 외부적인 각종 환경변화 및

인의적인 요인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는 반드시 그에 대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6) 전원 선은 동축선 및 신호선과 반드시 분리시켜 전기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포설 하여야 한다.

7) 신호선로를 포함한 모든 케이블류는 가능한 배관에 인입하여 포설 하여야 한다.

8) 각 배관은 평형으로 지지 표면과 가깝게 설치하여야 하며, 노출 배관 고정지지

대는 60Cm100Cm 간격으로 설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9) 곡부는 변형이나 배관 두께가 얇아지지 않도록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설치

하여야 하며, 플라스틱 배관은 플라스틱 클립 등을 사용하여 평행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10) 배관 선단은 가능한 직각으로 절단하고, 이형관에 삽입하기 전에 청소를 하여야

한다.

11) 실내에는 녹슬지 않는 아연도 강관이나 철재 후랙시블 전선관으로 배관하되

케이블 무게에 의하여 처짐이 없도록 새들이나 금구를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시

켜야 하며, 옥외 매설에 사용하는 배관은 녹슬지 않는 경질 PVC 전 선관이나

후랙시블 전선관을 사용하되 완전 방수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12) 모든 전력선과 신호배선은 클램프형 Lug로 종단 처리하여야 한다.

13) 가능한 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반드시 방수처리

하여야 한다.

14) 추후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모든 배선 또는 배관에는 영구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표시찰을 부착시켜야 한다.

15) 모든 배선과 배관은 미려하게 배치하고, 케이블 타이 등으로 견고히 지지 시켜

야 하며, 감독공무원의 별도 승인이 없는 한 이음부위 없이 단말과 단말을 연결

하여야 한다.

. 배관작업

1) 배관재질

- 금속관(녹슬지 않는 것) 또는 합성수지 전 선관으로 KS 표시품 이어야 한다.

2) 부속품

- 전선관용 부속품은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 KS 규격에 적합하여야 하며, 별도 지시가

없는 한 박스류에는 커버부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배관 부설

) 관의 매입 또는 관통은 감독공무원의 지시에 따르고 건축물의 구조나 강도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전선관의 구부림 반경은 관내경의 6배 이상으로 하고, 1구간의 구부림은 3개소

이내(합각도 180°이내)로 하여야 하며, 관의 내경은 선로 외경의 2배 이상

으로 한다.

) 관 상호간의 접속에는 커플링을 사용하고, 관과 박스의 연결은 로크 너트로서

내외의 양면에 견고히 고정한다.

) 배관 1구간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기술상 필요한 곳은 Pull Box를 설치

하여야 하며, 새들 또는 행거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설치간격을 2m 이내로 한다.

, 배관의 종류에 따라 설치간격은 조정될 수 있다.

4) 배관 입선

) 케이블 접속은 Box 또는 분전반 내에서만 하여야 한다.

) 케이블을 입선하기 전에 반드시 부싱을 끼워두어야 한다.

) 입선 시에 케이블의 절연피복이 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입선 후 케이블 여장을 정리정돈하고, 연결부위는 방수 처리하여야 한다.

) 필요한 기기에 결선할 경우 케이블이 바뀌지 않도록 미리 표시를 해 두어야

한다.

. 배선인입 작업 시 유의사항

1) 전원선 인입

) Main 전원선 인입 작업 시 기기의 사용전압 및 사용전류 용량을 설계용량과

검토한 후 기기의 사용전압과 전류용량을 확정하여야 한다.

) 전원선 입선 전에 케이블의 굵기, 규격, 용도별로 구분하여 배관에 입선하여야

하며, 또한 배관의 크기도 결정하여야 한다.

) 단상 2선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공급 방식으로 공통 선과 접지선은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입선하여야 한다.

) 34선식 방식은 동력전원과 전류용량 소비가 많은 곳에 사용되는 전원공급

방식으로(R. S. T. N) 접지선 배선색상은 각각 다른 배선으로 구분하여 입선

하여야 한다.

구분 배선방식 전압측 접지측 증심선
전원(저압)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33선식
34선식
적색 또는 흑색
적색 또는 흑색
적색, 흑색, 청색
적색, 흑색, 청색
녹색
녹색
녹색
녹색
백색 및 흑색
백색 및 흑색
백색 및 흑색
백색 및 흑색
직류 -극 청색, +극 적색 녹색 백색 및 흑색

 

. 표식처리 및 선로정리

1) 배선입선 작업시 사용 기기의 종류 및 내역을 배선 시작부분과 종단부분에 표식

처리하여야 한다.

2) 배선표식은 견출지, 라벨터치를 사용하여 표식처리 후 투명한 테이프로 밴딩

처리하여야 한다.

3) 배선 입선작업 완료 후 배선 정리정돈을 하여 배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4) 선로정리는 진동과 차후의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10Cm 정도 여유 있게 정돈

하여야 한다.

. 케이블

1) 케이블은 전파의 누설 또는 외부전파 침투차단을 위해 차폐성능이 우수하고, 전송

손실이 적은 종류를 선택하여야 한다.

2) 케이블포설은 배선방법에 따라 케이블 루트를 선정하고, 케이블 허용 곡율반경을

유지하여야 하며,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포설에 주의하여야 한다.

3)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케이블의 장력으로 인한 케이블 특성변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배관에 입선하여 포설하여야 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

는 자기지지형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50Cm 간격으로 U형 새들 또는 케이블 타이랩

으로 고정하여야 한다.

4) 비닐절연체는 도체 위에 동심원상으로 피복 하여야 하고, 사용상 유해한 홈이나

기포가 없어야 한다.

5) 선심의 식별방법은 7심 이하는 색별표식 및 8심 이상은 번호별로 표식 처리하되

아라비아 숫자를 약 30mm 간격으로 연속 인쇄하여 표식 처리 하여야 한다.

6) 다심 케이블은 소요 심선 수를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적당한 비흡수성 게제물과

함께 원형으로 연합하고, 그 위에는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적당한 비흡수설

테이프를 감아야 한다.

7) 정전유도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절연체 위 또는 연합 위에 두께 0.1mm의 연동

테이프를 그 테이프 폭의 15% 이상 중첩하여 밀착되게 감고, 그위에 적당한

테이프를 감아야 한다.

8) 연동테이프의 표면은 침공, 박피 등 결함이 없어야 하며, 연동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은 반드시 용접하여야 한다.

9) 절연체 또는 정전차폐 위에 케이블 심선과 동심원상으로 시이스를 피복 하여야 한다.

. 커넥터(Connector)

1) 커넥터의 특성

) 커넥터는 내구성이 좋고, 특성변화가 없어야 하며, 특히 접촉저항이 적고 결합시

빠지거나 헐거워지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방수와 방습에 우수하고,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견고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선로 감쇄가 적고, 특성 임피던스 불균등에 의한 신호반사가 적은 것을 사용

하여야 한다.

2) 커넥터의 단말처리

- 커넥터를 조립하여 기기에 접속시킨 후에 열 수축 튜브를 사용하여 방수, 방식,

연결개소 풀림 등 커넥터의 단말처리를 하여야 한다.

(8) 기 타

- 본 규격에서 언급되지 않은 각종 장치 등의 구조 및 외형크기는 본 사업의 시스템

에 적합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하여야 한다.

- 시공과 관련하여 명시되지 않은 세부적인 사항은 각 공정별 전문시방서 시공기준을

따른다.

 

II. 특별 시방서

 

1. 총 칙

본 시방서는 영상감시장치 관련 장비의 구성, 기능 및 기기의 특성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2.1 일반 사항

1) 고해상도 영상의 실시간감시와 저장을 관제실에서 운영 및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시스템 확장성을 고려하여 기능 및 최적 운영이 가능한 구성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2.2 구축 요구사항

1) 설치하는 시스템은 상황실 시스템과 반드시 호환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 설치되는 시스템은 메가픽셀 200만 화소급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한다.

 

 

3. 기기 규격

영상감시시스템

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 기능

- 영상 모니터링과 녹화 재생, PTZ제어 등 다양한 기능 제공

- 고해상도 , 저해상도를 활용한 빠른 모니터링

- 4K카메라 지원

- 조작이 편리한 조이스틱, 조그셔틀 지원

- 이벤트에 의한 연동지원(프리셋, 경광등, 팝업, 알람 등)

- 카메라 , 저장 장애 실시간 모니터링

- CPU, Memory, Network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

2) 제원

- 영상 입/출력 : 최대 16채널 모니터링, 모니터2개 지원

- CPU : Intel i7-8700(3.2Ghz)

- RAM : 16GB(DDR4 8GB x2EA)

- OS : Windows10

- 디스크용량 : 128GB(SSD)

- 내장형 핫플러그 디스크 드리아브 수 : 최대 8bay

- 통신속도 : 1Gbps

- 전원공급기 : 700W(AC100~240V, 50~60Hz)

- VGA : Intel HD Graphics

- ODD : DVD

- 형태 : 2U Rackmount

- 크기 : 482(W) x 546(D) x 89(H)mm

 

 

 

모니터

1) 기능

2M 해상도를 지원하는 LED 모니터로서 HDMI, VGA, BNC, 다양한 영상 입출력을 지원하는 고해상도 모니터입니다.

 

2) 제 원

- 디스플레이 : LED / 패널크기 22/ 명암비 1000:1

화면비율 16:9 / 응답시간 5ms

시야각(수평/수직) 170˙/160˙ / 비디오 NTSC,PAL

패널수명 30,000시간

- 해상도 : 1920 x 1080

- 인터페이스 : 영상 커넥터-BNC 타입 (2입력 / 2출력)

1 아날로그 RGB 15-pin D-sub

사용가능 포맷-1920x1080(최대)

640 x 480p@60Hz

720 x 480i@60Hz, 720 x 480p@60Hz

720 x 576i@50Hz, 720 x 576p@50Hz

1,280 x 720p@50Hz/60Hz

1,920 x 1,080i@50Hz/60Hz

1,920 x 1,080p@50Hz/60Hz

- 1 HDMI 입력 / 오디오 커넥터 2RCA 타입(2 스테레오 입력) 리모컨 지원

 

 

 

보안용카메라 뷸렛형

1) 기능

-Full-HD급 해상도 주/야간 기능의 네트워크 카메라(고정형)

- H.265 / H.264 / MJPEG 의 다중압축방식 및 트리플스트리밍 동시 지원

- 최대 줌(광학 12)지원

- 최대프레임 30FPS@1920x1080 해상도 지원

- PoE(Power Over Ethernet) 지원

- 오디오 감지(묵음/소리) 기능 지원

- 영상 노이즈 개선 기능(2D, 3D, 2D+3D, Advanced) 지원

- 이미지 보정기능 지원(WDR, BLC)

- 안개 보정기능 지원(Defog)

- 지능형 Self Action (TX) 기능 지원

- 지능형 영상분석 기능(충격/침입/배회/소리/영상감지) 지원 / 옵션

- 자체 저장을 위한 SDHC-Card Slot 지원 및 FTP 저장 지원

- 조도센서(CDS)에 따른 주/야간 변경 시점 조절 기능 지원(자동/수동)

- 스마트 스케줄 기능(/야간 카메라 설정 자동변경) 지원

-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 SSL(Secure Sockets Layer) IP 필터링 지원

- 방수/방진 IP55 및 외부충격 IK10 인증 취득

- ONVIF PSIA 국제프로토콜 지원

- PoE(Power Over Ethernet) 지원

 

2) 제원

- 이미지센서 : 1/2.8", CMOS Sensor

- : Optical x12 / IP x10

- 렌즈 : Auto DC Iris, Motorized LENS, IR Cut Filter

- 초점거리 : F = 5.0 ~ 60mm

- 조리개값 : F1.5 ~ 3.0

- 화각범위 : Horizontal : 58.5°(Wide) ~ 5.7°(Tele), Vertical :33.2°(Wide) ~ 3.2°(Tele)

- 최저조도 : 0 Lux(IR LED ON)

- 전자셔터속도 : 1/1 ~ 100,000

- 플립모드 : Horizontal, Vertical

- 이미지개선기능 : AF, AWB, AE, NR, TDN, DSS, BLC, DEFOG, WDR, DPC, GAMMA

- IR LED : 8 pcs(850nm) / Min 50m

- 비디오압축 : H.265 / H.264 / MJPEG

- 프레임비율 : Max 30FPS@1920x1080

- 대역폭 : Primary(32Kbps~16Mbps) / Secondary(32Kbps~4Mbps)

- 해상도 : 352x240 ~ 1920x1080 / 18단계 지원

- 비디오스트림 : Primary - H.265/H.264, Secondary * 2 - H.265/H.264/MJPEG

- 오디오압축 : G.711 ULAW / AAC(옵션)

- 오디오 입출력 : 1 x Line In / 1 x Line Out(Mono, RCA Type)

- 네트워크 접속 : 10/100 Base-T(RJ-45)

- 네트워크 프로토콜 : IPv4/v6, TCP,UDP, IGMP(Multicast), ICMP, DHCP, HTTP, HTTPS, RTSP, FTP, SNMP, UPnP, WS-Discovery, Zero Configuration, NTP, DDNS, RTMP

- 네트워크 암호화 : 암호보호, IP필터, HTTPS 암호화

- ONVIF, PSIA 등 국제프로토콜 지원

- 센서/알람/제어 : 1 입력 / 1 출력 / RS-485 지원

- 기구물인증 : IP55 / IK10

- 전원공급 : DC12V(1.5A) / PoE(Power over Ethernet) : 802.3af

- 소비전력 : DC12V / PoE (Max : 10.2W)

- 동작상태 : 온도 : -30°C ~ 70°C / 습도 : Less than 90% RH

- 규격/무게 : ø85.7 x 297.9(L)mm / 1.600g

 

 

2. POE HUB 24PORT

1)제원

표준 Standard IEEE 802.3 10Base-T IEEE 802.3u/x/z 100Base-TX/FX, Gigabit SX/LX
IEEE 802.3ad Port trunk with LACP IEEE 802.1w Rapid spanning tree protocol
IEEE 802.1Q VLAN Tagging IEEE 802.1x Port Authentication Network Control
인터페이스 RJ45포트 10/100/1000Base-T RJ-45 24포트
콤보포트(포트21~24), Auto-negotiation, Auto MDI-X
광포트 SFP 4슬롯, 1000Base-SX/LX SFP 지원
100Base-Fx SFP지원, Speed auto detection
LED표시 ports: 10/100/1000 Link/Act/Speed, SFP Link
성능 Back Plane Switching Fabric 48Gbps, 8K MAC Address table, Jumbo Frame 10Kbytes
Layer 2 Management Interfaces: Console, Telnet, Web Browser, SNMPv1, v2c, SNMP v3
VLAN: 802.1Q Tagged Based VLAN, Port VLAN, Q-in-Q, Private VLAN Edge(PVE)
Spanning Tree: IEEE 802.1D, IEEE 802.1w Rapid Spanning Tree, IEEE 802.1sMSTP
IEEE 802.3ad LACP / Static Trunk, IGMP(v1/v2/v3) Snooping
IP-Based ACL / MAC-Based ACL, 802.1Q VLAN tag QoS
동작환경 온도범위 동작온도 : -20~ 70, 보관온도 : -40~ 80
습도 5 ~ 95% (이슬이 맺히지 않을 것)
입력전원   100~240VAC, 50/60Hz
크기   440mm(W) * 200mm (D) * 44.5mm(H), 1U

 

 

 

보안용카메라 돔형

1. 200만화소 IR 네트워크 카메라

1) 기능

-200만화소 네트워크 카메라로 최대
-1920×1080 해상도로 실시간 영상전송,

-강력한 디지털 영상 압축

- 고해상도 영상을 전송하는 적외선 카메라

 

2) 제원

- 촬상소자 : 1/2.82메가픽셀 cmos 적용

- 총화소 : 1945x1109/유효화소1945x1097

- S/N: 50dB

- 최저조도 : 컬러0.015Lux(F1.4,1/30sec), 흑백 0Lux(IR LED On)

야간가시거리 30m

- 렌즈 : 초점 2.8~12mm전동가변4.3

- 최대구경비 F1.4~3.6/DC Auto iris,P-iris

- 화각 : H:119.5°,V:62.8°,D:142.1°/H: 27.9°,V:15.7°,D:32.0°

팬틸트 회전범위 - 0° ~ 354° / 0° ~ 67° / 0° ~ 355°(수동제어)

- 보정 : 역광BLC,HLC,WDR(150dB) / 노이즈제거SSNR,SSDR

Defog(자동,수동,off)

- 동작탐지 : off,on / 프라이버시 기능 등 지원 / 픽셀카운터 지원

- W/B,Contrast : 화이트발란스 조정 / 콘트라스트 레벨 조정 지원

- 동작온습도 : -10°C ~ +55°C / 90% RH 이하

- 내충격대응 : IK08

- 전원 : 12VDC ± 10%, PoE(IEEE802.3af)

최대 9W (12VDC), 최대 10W (PoE)

- 외관 : 색상,재질/Ivory, Plastic

외형치수(ØxH) Ø140.8 X 113.0mm/무게 624g

 

 

 

 

 

 

전원공급장치

1) 기능

본 기기는 각종 전원을 일괄적으로 CONTROL하는 장치로써 DESK TYPE 형태 의 장비이나 별도의 19“ RACK MOUNTBRACKET을 사용하므로 써 기타 장비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제 원

- 사용 전원 : AC 110/220V 60Hz

- 출력 전원 : 사용 전원과 동일 출력

- 소비 전력 : 3W MAX

- 제어 대수 : 10

- 최대 부하 전력 : AC 110V 12A , AC 220V 6A

- 출력 단자 : 220V 콘넥터

- 외형 치수 : 483(W) * 44.5(H) * 250(D) mm

 

 

 

 

 

서지보호기

1. 전원용 서지보호기

1) 특징

- Class ll, AC단상용

2) 제원

- 전압보호레벨 : 2,000V 이하

- 고정방식 : Box Screw, DinRail

- case재료 : 난연성 플라스틱 또는 스틸

- 운용환경 : -40 ~ 85/ 5% ~ 95% RH

- 운용전압 : AC 220V

- 상기사양 동등이상품

 

 

네트워크시스템장비용랙

1) 제원

- Unit : 22U

- 허용하중 : 1,000kg

- 크기 : 590(W)×1,200(H)×750(D)mm

- 조립구조 : 볼트조립

- 재질 : Aluminum extrusion / Sheet Steel

- 너트타입 : 슬림 너트 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