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동식 무대기계장치 규격서5

카테고리 없음

by 유태휘수 2024. 10. 31. 07:43

본문

반응형

7. 하자보증 : 납품 설치일로부터 2

7.1 제품의 하자보증은 기본 2년으로 하며 별도 협의된 내용은 계약에 의한다.

7.2 하자보증 기간이내 설치된 제품의 불량으로 인한 이상 발생시는 무상 처리하는 원칙으로 한다.

7.3 다음과 같은 경우는 유상처리를 할 수 있다.

1) 하자보증 기간 이내 사용자 과실로 인한 이상발생

2) 천재지변으로 인한 이상발생

 

 

 

8. 포장 및 표시

8.1 포장

1) 당사에서 사용하는 무대장치는 종류별로 포장하여 팔레트 적재를 기본으로 하여 로트별 출고별로 별도 포장하여 출고한다.

2) 해외포장은 개별 포장을 원칙으로 각각의 품목별로 나무 박스 포장으로 한다.

 

8.2 표시

1) 제품에는 다음 사항을 표시하여야 한다.

 

9. 적용자료

- KS A 6103 무대시설-용어

- KS A 6107 무대 안전사고 예방지침

- KS A 6108 무대시설물의 자체 안전검사

- KS A 6109 공연장 상부무대시설의 안전 요구사항

- KS A 6110 무대시설의 설계 및 설치 안전 기준

- KS A 6111 무대시설의 설치 안전기준(폐지)

- KS A 6112 공연장 하부무대시설의 안전성 평가

- KS A 6113 공연장 하부무대시설의 성능 시험방법

- KS B 5243 강제 진직자

- KS B 5203-1 버니어 캘리퍼스1적용 범위 0.1 mm 0.05 mm

- KS B 4700 전동 윈치

- KS C 1502 소음계(폐지)

- KS C 1505 적분 평균 소음계(폐지)

- KS C 4202 일반용 저압 3상 유도 전동기

- KS C 4508 마이크로 스위치

- KS C 4519 제어용 캠 스위치

- KS C IEC 60051-2 직동식 지시 전기계기-2: 전류계 및 전압계

- KS D 3514 와이어 로프

- KS C IEC 60034-1 회전기기 1: 정격 및 성능

- KS A 0902 제품 안전 라벨

- KS S ISO 17398 안전색 및 안전표지(안전표지의 분류,성능 및 내구성)

- KS C IEC 61310-2 기계류의 안전성(지시,표시 및 작동 제2:표시 요구 사항)

- KS C IEC 60204-1 기계류의 안전성(기계류의 전기 장비 제1:일반 요구 사항)

- KS C IEC 60204-32 기계의 안전(전기기계장비 제32:호이스트에 대한 요구사항)

- KS B ISO 14118 기계 안전(예기치 않은 시동의 방지)

- KS B ISO 12100 기계안전(설계 일반원칙 - 위험성평가와 위험성감소)

- KS B ISO 13849-100 기계류의 안전(제어장치의 안전 관련 부품 제100)

- 특허 제10-1362410(2014.02.06.)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 특허 제10-1406281(2014.06.03.)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 특허 제10-144206(2014.09.12.)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활차>

- 특허 제10-1383850(2014.04.03.) <무대기계장치의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2. 제품의 구성

 

대강당 무대장치

 

2-1 현수막걸이대 (PLACARD BATTEN)

 

2-1-1 제품의 구성

현수막걸이대는 구동부, 활차, 와이어파트, 바튼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2-1-2 재료

 

구 분 재 료
구동부 모터, 감속기, 브레이크, 드럼, 리미트스위치, 베이스
활차 롤러, 샤프트, 베어링, 활차브라케트
와이어파트 와이어로프, 턴버클, 샤클, 와이어클립, 심블
바튼프레임 스틸파이프, 파이프캡, 파이프조인트샤프트

 

2-1-3 형태

전동윈치방식 (MOTOR DRIVE WINCH TYPE)

 

2-1-4 제조 및 가공

1) 전동원치(MOTOR DRIVE WINCH)방식으로 승하강되며 파이프(PIPE Φ48.6)와 와이어로프(WIRE ROPE)의 연결은 파이프 밴드(PIPE BAND)를 사용한다.

2) 공연 시 필요한 세트물을 손쉽게 취부할 수 있도록 바튼 (BATTEN)FLOOR에서 1M 높이까지 하강되어야 한다.

3) 파이프와 와이어로프 (WIRE ROPE)의 각 연결점은 파이프 밴드를 부착한 후 턴버클과 샤클로 연결한다.

4) 와이어로프 (WIRE ROPE)와 부품의 연결은 와이어 클립 3개로 고정시키고 와이어로프의 굴곡 부위는 심블 (THIMBLE)을 사용하여 꺾임을 방지한다.

5) 와이어로프의 전 단면은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본선과 밀착 마감한다.

6) PIPE의 좌우 측면에 고무 CAP을 씌워 충돌을 방지한다.

 

2-1-5 기능 및 성능

공연 및 행사에서 그 주제를 알리는 현수막을 매달아 전동에 의하여 승, 하강이 가능한 설비로 승, 하강 속도는 9~12m/min 행정거리는 3~15m 인양하중은 100kg ~ 600kg 의 성능을 가진다.

 

2-1-6 제원표

 

규 격 동 력
9,000L 1.5KW x 4P

 

2-1-7 마감 및 외관

1) 바튼프레임의 마감은 녹막이 페인트 2회 도장 후 조합페인트 2회 도장으로 미려하게 처리하고 와이어로프(WIRE ROPE)의 전단면은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본선과 밀착 마감한다.

2) 행사 시 현수막을 손쉽게 취부할 수 있도록 바튼이 부착자의 가슴높이까지 하강되어야 한다.

 

2-1-8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삭제될 수 있다.

 

2-2 부분조명기걸이대 (MOVABLE SUSPENSION LIGHT BATTEN)

 

2-2-1 제품의 구성

부분조명기걸이대는 구동부, 활차, 와이어파트, 바튼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2-2-2 재료

 

구 분 재 료
구동부 모터, 감속기, 브레이크, 드럼, 리미트스위치, 베이스
활차 롤러, 샤프트, 베어링, 활차브라케트
와이어파트 와이어로프, 턴버클, 샤클, 와이어클립, 심블
바튼프레임 스틸파이프, 파이프캡, 파이프조인트샤프트

 

2-2-3 형태

전동윈치방식 (MOTOR DRIVE WINCH TYPE)

 

2-2-4 제조 및 가공

1) 전동원치(MOTOR DRIVE WINCH)방식으로 승하강되며 파이프(PIPE Φ48.6)와 와이어로프(WIRE ROPE)의 연결은 파이프 밴드(PIPE BAND)를 사용한다.

2) 공연 시 필요한 세트 물을 손쉽게 취부할 수 있도록 바튼 (BATTEN)FLOOR에서 1M 높이까지 하강되어야 한다.

3) 파이프와 와이어로프 (WIRE ROPE)의 각 연결점은 파이프 밴드를 부착한 후 턴버클과 샤클로 연결한다.

4) 와이어로프 (WIRE ROPE)와 부품의 연결은 와이어 클립 3개로 고정시키고 와이어로프의 굴곡 부위는 심블 (THIMBLE)을 사용하여 꺾임을 방지한다.

5) 와이어로프의 전 단면은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본선과 밀착 마감한다.

6) PIPE의 좌우 측면에 고무 CAP을 씌워 충돌을 방지한다.

 

2-2-5 기능 및 성능

무대의 중간 중간에 위치하여 무대전체를 균일한 조도로 조명하는 등기구를 장착하여 전동에 의하여 승, 하강하는 기능을 가지며 승, 하강 속도는 9~12m/min 행정거리는 3~12m 인양하중은 200kg ~ 650kg 의 성능을 가진다.

 

2-2-6 제원표

 

규 격 동 력
9,000L 2.2KW x 4P
0.4KW x 4P

 

2-2-7 마감 및 외관

1) 바튼프레임의 마감은 녹막이 페인트 2회 도장 후 조합페인트 2회 도장으로 미려하게 처리하고 와이어로프(WIRE ROPE)의 전단면은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감아서 본선과 밀착 마감한다.

2) 공연 시 조명기구를 손쉽게 취부할 수 있도록 바튼이 부착자의 가슴높이까지 하강되어야 한다.

 

2-2-8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삭제될 수 있다.

 

 

2-3 롤스크린 (ROLL SCREEN)

 

2-3-1 제품의 구성

롤스크린 구동부, 롤드럼,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다.

 

2-3-2 재료

 

구 분 재 료 비 고
구동부 원주형구동부
롤드럼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구조용 강관
스크린 스크린(WHITE MAT)

 

2-3-3 형태

전동 상단 회전 방식 (MOTOR DRIVE LIFTING METHOD)

 

2-3-4 제조 및 가공

1) 전동 롤드럼 회전방식으로 롤드럼을 회전하여 스크린을 승, 하강하며 롤드럼에 원주형구동부를 삽입 고정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한다.

2) 스크린지 하단에 하단바를 부착하여 구동 시 흔들림을 방지한다.

 

2-3-5 기능 및 성능

1) 무대상부의 중간에 위치하여 영화 상영 및 슬라이드 상영 시 스크린으로 사용하기 위해 내려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부 롤드럼에 감겨 보관된다.

2) , 하강 속도는 4~6m/min의 성능을 가진다.

 

2-3-6 제원표

 

규 격 동 력
6,000L * 6,000H 250W

 

2-3-7 마감 및 외관

스크린지는 MAT-WHITE를 사용하여 연결 부위는 고주파 및 BONDING 처리를 하여 연결 부위에 영상이 변화가 없도록 한다.

 

2-3-8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삭제될 수 있다.

 

 

2-4 롤 국기걸이대 (ROLL FLAG BATTEN)

 

2-4-1 제품의 구성

롤스크린 구동부, 롤드럼,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다.

 

2-4-2 재료

 

구 분 재 료 비 고
구동부 원주형구동부
롤드럼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구조용 강관

 

2-4-3 형태

전동 상단 회전 방식 (MOTOR DRIVE LIFTING METHOD)

 

2-4-4 기능 및 성능

무대상부의 후면에 위치하여 국기 및 장치물을 장착하여 전동으로 승, 하강하는 기능을 가지며 승, 하강 속도는 6~9m/min 행정거리는 3~4m 인양하중은 50kg의 성능을 가진다.

 

2-4-5 제원표

 

규 격 동 력
1,800L * 3,000H 105W

 

2-4-6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삭제될 수 있다.

 

 

2-5 그리드아이언 (GRID IRON)

 

2-5-1 제품의 구성

그리드아이언은 행거파트, 주보, 머신베이스, 활차베이스, 발판으로 구성된다.

 

2-5-2 재료

 

구 분 재 료
행거 스틸플레이트, 라운드바, 평철, 체결볼트
주보 CHANNEL, 스틸플레이트, 체결볼트
머신베이스 CHANNEL, 스틸플레이트, 체결볼트
활차베이스 CHANNEL, 스틸플레이트, 체결볼트
발판 EXPANDED METAL

 

2-5-3 형태

건축트러스에 매달고 측벽에 고정

 

2-5-4 제조 및 가공

1) 각종 장치물을 매달기 위한 평 트러스의 일종으로 각종 활차 및 구동부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2) GRID는 무대 시설물의 수리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 및 전기 조명 설비의 중량 및 자중, 하중, 세트 물의 중량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재를 선정한다.

3) GRID는 콘크리트나 본 건물의 트러스에 연결되며, 흔들림이나 비틀림을 고려하여 견고히 고정한다.

4) GRID에 사용하는 철자재는 연속 필렛 아아크 용접이나 볼팅으로 연결한다.

5)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는 기존 건축 트러스 및 콘크리트에 행가를 설치하여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

 

2-5-5 기능 및 성능

일종의 평트러스로 무대기계장치의 구동부 및 활차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관리자의 점검 할 수 있는 CAT WALK의 기능을 가진다.

 

2-5-6 제원표

 

규 격 동 력
1 -

 

2-5-7 마감 및 외관

트러스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마감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형강의 도장은 녹막이 페인트 2회 도장 후 조합페인트 2회 도장하여야 한다.

 

2-5-8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발판이 삭제될 수 있다.

 

2-6 콘트롤시스템 (CONTROL SYSTEM)

 

2-6-1 제품의 구성

콘트롤시스템은 콘트롤판넬, 콘트롤콘솔, 배관 및 배선으로 구성된다.

 

2-6-2 재료

 

구 분 재 료
콘트롤판넬 판넬외함, 각종 계기, 차단기, M/G스위치, 릴레이
콘트롤콘솔 콘솔외함, 키스위치, E/M스위치, 동작스위치
배관 및 배선 케이블덕트, 전선관, 가요전선관, 풀박스, 조인트박스

 

2-6-3 형태

콘트롤판넬 : 자립형 또는 벽부형

콘트롤콘솔 : 탁상형 또는 벽부형

배관 및 배선 : 현장설치

 

2-6-4 제조 및 가공

1). 외함은 옥내자립형 또는 벽부형으로 제작되며, 각부의 주요 취부틀에 대해서는 STEEL PLATE 1.6T이상을 사용하고 측면 및 문은 2.3T이상의 강판을 사용한다.

2) PANEL 전면에 DOOR를 설치하여, 설치 후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3) PANEL 내부는 공기순환을 위하여 상, 하 측면에 통풍구를 설치한다.

4) PANEL의 모든 입, 출입 배선은 현장여건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통하여 결선이 되도록 제작한다.

5) 콘솔의 PUSH BUTTON S/WUP S/W 표시는 녹색, DOWN S/W 표시는 적색으로 한다.

6) 전기부품의 고장을 진단하여 조작반에 고장부위 표시

7) 과부하, 배선용차단기, 전자접촉기, 한계스위치 고장진단

 

2-6-5 기능 및 성능

무대기계장치의 승, 하강 및 좌, 우 개폐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2-6-6 제원표

 

규 격 비 고
1 무대기계장치의 제어 및 조작

 

2-6-7 마감 및 외관

외함 색상은 발주처 지시에 의하여 도장한다.

 

2-6-8 기타사항

본 설비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승, 하강 또는 좌, 우 개폐의 속도가 정속 또는 가감속이 가능할 수 있으며 회로의 수량이 변동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