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기능 및 성능
6.1 기능
1) 이동식 무대장치
(1) 무대세트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기능
(2) 무대연출에 필요한 위치로 이동 설치하는 기능
(3) 무대기계장치의 다양한 효용으로 효율성 증대
(4) 무대장치용 구동기기는 정밀 운전에 사용하는 스크류드럼식 구동부와 공간절약의 디스크 드럼식 구동부가 있는데 어떠한 구동부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치
(5) 장치봉의 크기와 위치를 변화할 수 있는 이동식 수직활차 적용
2)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부
(1) 대형 무대장치의 고중량 고속으로 승,하강 시키는 정밀 구동부
(2) 와이어로프가 드럼홈에 정확하게 감기도록 하는 피치 이동 슬라이딩장치 적용
(3) 와이어로프가 인입 각도를 0도로 유지하여 와이어로프가 드럼에 감기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기능
(4) 별도의 풀리 그리드 아이언이 필요 없는 구조로 구동부에서 수직활차로 와이어
로프를 직접 안내하는 기능
(5) 와이어로프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장력을 균일화하는 기능
(6)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기면서 발생하는 와이어로프 인입 각도가 항상 0도가
되도록 하여 드럼홈에서 와이어로프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
(7) 연출용 셋트가 정상적으로 승,하강 하는지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와이어로프 처짐 및 절단을 감지하는 기능
(8) 와이어로프가 드럼 홈에 정확하게 감기도록 이탈 감지장치와 이탈방지 롤러장치 적용
(9) 무대용 한계스위치인 기어리미트 스위치를 적용하여 승,하강 위치 단속과 함께
가감속 구간 설정 그리고 승,하강 스위치 불량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승,하강 센서 적용
(10) 안전을 위하여 승,하강을 단속하는 기어리미트 스위치 고장시 승,하강 구간을 직접 감지하는 승,하강 감지장치 적용
(11) 안전을 위하여 브레이크는 B타입(전원차단시 작동)을 사용하며 별도의 브레이크가 더 장착되어 1개의 브레이크 고장시 다른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하는 2중 브레이크 적용
(12) 드럼에서 인입되는 와이어로프를 리턴 활차를 통하여 수직활차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장치 적용하여 구동부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수직활차에 와이어로프를 간섭 없이 전달이 가능한 기능
(13) 피치이동 스크류와 너트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크류장치가 자동으로 정밀도를 맞추도록 하는 기능적용
3) 디스크 드럼식 구동부 (이동식 무대장치에 사용)
(1) 컴팩트한 구조로 승,하강 시키는 구동 기능
(2) 이동식 무대에 적용이 가능한 기능
(3) 꼭 필요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고장이 없고 정비가 쉬운 기능
(4) 수직활차와 와이어로프 인입각도가 최소로 하게 구성된 기능
(5) 드럼의 재질을 AL합금으로 하여 와이어로프의 마모를 최소로 하는 기능
(6) 무대용 한계스위치인 캠리미트 스위치를 적용하여 승,하강 위치 단속과 함께 승,하강 스위치 불량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승,하강 센서 적용
(7) 브레이크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드럼이 역회전을 하지 않도록 셀프 록킹이 가능한 워엄기어를 감속기 적용하여 추락방지 기능적용
(8) V.벨트의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전동기와 감속기를 스터디볼트로 연결하여 간격을 조절함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기능
6.2 성능
(1) 성능인증 제15-1568호 「이동식 무대기계장치」
성능인증 당시 인용한 시험방법과 품질기준을 만족한다.
(2) Q마크 S25-2017-021 「이동식 무대장치」
Q마크인증 당시 인용한 시험방법과 품질기준을 만족한다.
6.2.1 품질기준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겉모양 | 작동 시 인체에 상해를 입힐만한 날카로운 부분이 없을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용접부위는 스팻터, 슬래그, 오버 랩, 언더컷, 핀 홀이 없고, 균일하게 용접되어 있을 것 | |||
구조물의 연결부분은 풀림 및 변형이 없을 것 | |||
균열, 녹, 변형, 파손, 비틀림 등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을 것 | |||
부식의 우려가 있는 부분은 친환경성 도료를 사용하여 각각 2회 도장 되어 있을 것 | |||
사용상 주의를 요하는 부위는 안전표시가 되어 있어야 하며, 표시가 어려운 부위는 취급설명서 등에 게재될 것 | |||
감속기, 제동장치, 와이어 드럼 등 회전체에 필요한 경우 안전 커버를 설치할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구 조 |
감속기 | 헬리컬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 방식의 감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감속기, 감속기 축, 기타 부속기기의 외관에 균열이나 파손, 산화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을 것 | ||||
감속기를 고정하는 프레임의 기울어짐이 없어야 할 것 | ||||
오일이 누수되지 않아야 하며, 적정량의 급유되어 있을 것 | ||||
감속기 축에 연결된 드럼의 고정상태를 드럼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것 | ||||
감속기 고정 볼트와 너트 또는 감속기 고정 프레임의 고정 볼트와 너트에 풀림이 발생하지 않을 것 | ||||
감속기 폴리를 고정하는 키와 소켓볼트가 견고하게 고정 되어야 할 것 | ||||
전동기와 감속기, 감속기와 드럼을 연결하는 벨트나 체인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의 장력은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것 | ||||
감속기 축과 드럼의 회전은 원활하고 유동이 없어야 하며 또한 감속기 베어링에서 이상소음이 없고 구동중 감속기 내부, 축, 풀리에서 이상소음 및 진동이 없을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구 조 |
전동기 | 전동기 고정 프레임, 덮개, 폴리 등과 감속기를 연결하는 벨트는 변형, 파손 등 해로운 결점이 없을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전동기는 전폐형 전동기를 사용하며, 먼지가 전동기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하며 전동기 덮개는 견고하게 고정 되어야 할 것. | ||||
전동기 고정 볼트와 너트 또는 전동기 고정 프레임의 고정 프레임의 고정 볼트와 너트에 풀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전동기 폴리를 고정하는 키와 소켓볼트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 ||||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속기로 전달해주는 벨트는 전동기 폴리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며, 벨트의 장력은 적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야 할 것 | ||||
전동기의 작동 중에 이상소음 및 이상진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전동기의 기동 및 정지 시에 프레임이나 그리드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것 | ||||
브레이크 (제동장치) |
브레이크 덮개의 손상 및 부식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야 하며, 브레이크 덮개는 볼트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 | 이상없음 | ||
무대장치의 상승 및 하강 중에 블레이크를 작동시켰을 때 브레이크의 제동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브레이크에서 이상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구 조 |
와이어드럼 (디스크드럼, 스크류드럼) |
외관에 파손 및 변형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야 할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직경은 와이어 로프 직경의 30배 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와이어 로프의 마모나 꺽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동되어야 할 것 | ||||
내부는 표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4개소 이상의 보강장치를 할 것 | ||||
스크류 방식의 와이어 드럼은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와이어 로프가 스크류드럼에 중복으로 권취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하는 구조일 것 | ||||
디스크 방식의 와이어 드림은 인입되는 와이어 로프가 와이어 드럼이나 디스크 몸체에 클립과 같은 체결도구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또한 고정된 와잉어 로프가 드럼 밖으로 돌출되어 회전시에 근접한 부재와 간섭을 일으켜서는 안 될 것 | ||||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 롤러 선산에서 ±2° 이하 일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구 조 |
리미트 스위치 |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외관상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부속품은 KS에서 정의하는 규격품을 사용한다. | ||||
정해진 구간 내에서 자동으로 동력을 차단하는 추가적인 최종 리미트를 함께 적용해야한다. | ||||
와이어 로프 | 파단, 단선, 마모, 풀림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부식 및 산화가 없을 것 | 이상없음 | ||
1꼬임에서 소선수의 10% 이상 풀림 및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와이어 로프 지름의 감소량이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지 않을 것 | ||||
와이어 로프와 무대기구를 연결하는 턴버클, 심볼, 새클 등의 체결도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것 | ||||
고정부 끝단에 풀림이나 꺽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와이어 로프 끝단에 테이핑 등의 마감처리가 되어 있을 것 | ||||
와이어 로프 이동 중에 와이어 로프간 간선, 그리고 부재, 활차 부재 등과의 간섭이 없어야 할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안내활차 (수직활차) |
활차 홈 지름은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 굵기의 20배 이상이어야 할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
안내 활차는 부식 또는 산화, 파손 또는 변형이 없을 것 | ||||
안내 활차 베이스와 안내 활차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또한 안내 활차의 와이어 로프 이탈방지장치도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 ||||
구동 중 안내 활차로 유입되는 와이어 로프의 유입이 원활하고 와이어 로프의 교차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이탈방지장치와 와잉어 로프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것 | ||||
안내 활차 구동 중에 활차 베어링이 원활하게 회전되고 이상소음이나 이상진동이 발생되지 않을 것 | ||||
활차홈의 깊이는 와이어로프 직경의 1/3 이상이어야 한다. | ||||
활차에 유입되는 와이어로프의 각도는 ±2° 이하 이어여야 한다. | ||||
활차의 지지대는 균열, 파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 ||||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 제어판넬과 조작장치로 구성되며, 정확하고 원활한 제어가 가능할 것 | 이상없음 | ||
전, 후진 이동장치 | 구동부 부분 이동장치와 활차 부분 이동장치는 동시에 작동될 것 | 이상없음 | ||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퀴가 이탈되자 않는 구조일 것 | ||||
전동기는 설계 하중 이상의 무대장치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할 것 | ||||
전동기에 인입되는 전선은 전선관 또는 후렉시블로 보호되어 노출되지 않아야 할 것 | ||||
마찰바퀴는 주행 레일에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로 구동될 것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이동식 수직활차 | 활차의 레일에서 이동식 수직활차가 적재중량에 의하여 이탈되거나 변형이 되지 않을 것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
이동식 수직활차의 위치 고정볼트는 적재중량을 매달고 승·하강하는데 이동식 수직 활차의 위치가 변하지 않을 것 | ||||
그리드에서 활차 위치 고정볼트의 체결이 원활 할 것 | ||||
트롤리 | 트롤리는 무대장치의 적재중량을 가지고 승·하강하는데 있어서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것 | 이상없음 | ||
트롤리는 무대장치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그리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것 | ||||
전·후진 이동장치에 의하여 이동함에 있어서 레일에 끼임과 이상 소음이 없어야 할 것 | ||||
그리드 아이언 | 그리드 프레임 및 부속품은 KS에서 규정하는 SS40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규겸품을 사용해야한다. | 이상없음 | ||
그리드 부재는 휨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 ||||
그리드에 설치된 철망 등 조밀구조물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 ||||
그리드 프레임, 행거 및 채결도구는 산화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 ||||
이동식 무대장치의 그리드 아이언은 수직 활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점검용 도어가 설치되어야 한다.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부하 (정격전류 안전성) |
상승 | 규격서 6.2.2 |
|
하강 | |||
절연저항 | 5 ㏁ 이상 | ||
속도 | 상승 | ||
하강 | |||
소음 | 상승 | ||
하강 | |||
진동 | 감속기 | ||
드럼지지대 | |||
온도상승 | |||
상승·하강 감시장치 성능 | 5 mm 이하 | ||
브레이크 성능 | 브레이크 정지시 정지 명령 후 무대장치가 움직인 거리 | ± 3 mm 이하 | |
브레이크 전원 단전시 무대장치가 움직인 거리 | |||
내구성 | 변형, 파손 등 손상이 없으며, 정상 작동할 것 | 이상없음 | |
구동시험 | 내구성 (정격하중 및 운전속도로 승강 장치를 10,000회 승·하강 시킨 후 승강장치 적상작동) |
이상없음 | |
전·후진 이동 이동장치 100회 반복 작동시험 | 이상없음 | ||
성능 | 전·후진 이동 이동장치 이동 반복성 오차 | 35 mm 이하 |
시험항목 (단위) | 품질기준 | 시험방법 | ||
안전 장치 |
상승·하강 감지장치 | 감지장치 작동시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어야 한다. | 이상없음 | 규격서 6.2.2 |
감지장치 작동은 정지위치와 안전위치의 구간 내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 ||||
감지장치의 작동은 승·하강 리미트 작동 후 바로 작동되어야 한다. | ||||
무대장치 정격하중, 정격속도에 해야 한다 | ||||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감지장치 | 감지장치가 작동되면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어야 한다. | 이상없음 | ||
와이어로프가 손상되지 않도록 즉시 구동부 동작을 정지시키고 와이어로프의 찍힘이나 눌림이 없는 구조일 것 | ||||
감지장치의 해제는 반드시 이상을 조치한 후 조작이 될 것 | ||||
무대장치 정격하중, 정격속도에서 작동을 해야 한다. | ||||
와이어로프 절단 및 처짐 감지장치 | 감지장치가 작동되면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어야 한다. | 이상없음 | ||
와이어로프의 킹크 꼬임과 이탈을 감지하여 작동할 것 | ||||
감지장치의 해제는 반드시 이상을 조치한 후 조작이 될 것 | ||||
무대장치 정격하중, 정격속도에서 작동을 해야 한다. |
※ 제품은 상기 품질기준을 포함, 규격서에 기재한 모든 사항을 만족하며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보유한 모든 품질인증의 시험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6.2.2 시험방법
1) 겉모양, 구조(감속기, 전동기, 브레이크, 와이어드럼, 리미트스위치, 와이이로프, 안내활차, 무대제어시스템, 전후진이동장치, 이동식수직활차, 트롤리, 그리드아이드) 시험은 KS A 6107, KS A 6108, KS A 6109, KS A 6110에 따른다
1.1) 겉모양
겉모양 검사는 육안 검사로 한다.
1) 작동 시 인체에 상해를 입힐만한 날카로운 부분이 없을 것
2) 용접부위는 스팻터, 슬래그, 오버 랩, 언더컷, 핀 홀이 없고, 균일하게 용접되어 있을 것
3) 구조물의 연결부분은 풀림 및 변형이 없을 것
4) 균열, 녹, 변형, 파손, 비틀림 등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을 것
5) 부식의 우려가 있는 부분은 친환경성 도료를 사용하여 각각 2회 도장 되어 있을 것
6) 사용상 주의를 요하는 부위는 안전표시가 되어 있어야 하며, 표시가 어려운 부위는 취급설명서 등에 게재될 것
7) 감속기, 제동장치, 와이어 드럼 등 회전체에 필요한 경우 안전 커버를 설치할 것
1.2) 구조
1.2.1) 감속기
1) 헬리컬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 방식의 감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
2) 감속기, 감속기 축, 기타 부속기기의 외관에 균열이나 파손, 산화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을 것
3) 감속기를 고정하는 프레임의 기울어짐이 없어야 할 것
4) 오일이 누수되지 않아야 하며, 적정량의 급유되어 있을 것
5) 감속기 축에 연결된 드럼의 고정상태를 드럼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것
6) 감속기 고정 볼트와 너트 또는 감속기 고정 프레임의 고정 볼트와 너트에 풀림이 발생하지 않을 것
7) 감속기 폴리를 고정하는 키와 소켓볼트가 견고하게 고정 되어야 할 것
8) 전동기와 감속기, 감속기와 드럼을 연결하는 벨트나 체인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의 장력은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것
9) 감속기 축과 드럼의 회전은 원활하고 유동이 없어야 하며 또한 감속기 베어링에서 이상소음이 없고 구동중 감속기 내부, 축, 풀리에서 이상소음 및 진동이 없을 것
1.2.2) 전동기
1) 전동기 고정 프레임, 덮개, 폴리 등과 감속기를 연결하는 벨트는 변형, 파손 등 해로운 결점이 없을 것.
2) 전동기는 전폐형 전동기를 사용하며, 먼지가 전동기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하며 전동기 덮개는 견고하게 고정 되어야 할 것.
3) 전동기 고정 볼트와 너트 또는 전동기 고정 프레임의 고정 프레임의 고정 볼트와 너트에 풀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전동기 폴리를 고정하는 키와 소켓볼트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4)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속기로 전달해주는 벨트는 전동기 폴리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며, 벨트의 장력은 적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야 할 것
5) 전동기의 작동 중에 이상소음 및 이상진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전동기의 기동 및 정지 시에 프레임이나 그리드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것
1.2.3) 제동장치(브레이크)
1) 브레이크 덮개의 손상 및 부식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야 하며, 브레이크 덮개는 볼트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
2) 무대장치의 상승 및 하강 중에 블레이크를 작동시켰을 때 브레이크의 제동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브레이크에서 이상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
1.2.4) 와이어드럼 - 디스크드럼, 스크류드럼
1) 외관에 파손 및 변형 등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야 할 것
2) 직경은 와이어 로프 직경의 30배 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와이어 로프의 마모나 꺽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동되어야 할 것
3) 내부는 표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4개소 이상의 보강장치를 할 것
4) 스크류 방식의 와이어 드럼은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와이어 로프가 스크류드럼에 중복으로 권취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하는 구조일 것
5) 디스크 방식의 와이어 드림은 인입되는 와이어 로프가 와이어 드럼이나 디스크 몸체에 클립과 같은 체결도구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또한 고정된 와잉어 로프가 드럼 밖으로 돌출되어 회전시에 근접한 부재와 간섭을 일으켜서는 안 될 것
6)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 롤러 선산에서 ±2° 이하 일 것
1.2.5) 리미트 스위치
1)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외관상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2) 부속품은 KS에서 정의하는 규격품을 사용한다.
3) 정해진 구간 내에서 자동으로 동력을 차단하는 추가적인 최종 리미트를 함께 적용해야한다.
1.2.6) 와이어로프
1) 파단, 단선, 마모, 풀림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부식 및 산화가 없을 것
2) 1꼬임에서 소선수의 10% 이상 풀림 및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와이어 로프 지름의 감소량이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지 않을 것
3) 와이어 로프와 무대기구를 연결하는 턴버클, 심볼, 새클 등의 체결도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것
4) 고정부 끝단에 풀림이나 꺽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와이어 로프 끝단에 테이핑 등의 마감처리가 되어 있을 것
5) 와이어 로프 이동 중에 와이어 로프간 간선, 그리고 부재, 활차 부재 등과의 간섭이 없어야 할 것
1.2.7) 안내활차(수직활차)
1) 활차 홈 지름은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 굵기의 20배 이상이어야 할 것
2) 안내 활차는 부식 또는 산화, 파손 또는 변형이 없을 것
3) 안내 활차 베이스와 안내 활차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또한 안내 활차의 와이어 로프 이탈방지장치도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
4) 구동 중 안내 활차로 유입되는 와이어 로프의 유입이 원활하고 와이어 로프의 교차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이탈방지장치와 와잉어 로프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것
5) 안내 활차 구동 중에 활차 베어링이 원활하게 회전되고 이상소음이나 이상진동이 발생되지 않을 것
6) 활차홈의 깊이는 와이어로프 직경의 1/3 이상이어야 한다.
7) 활차에 유입되는 와이어로프의 각도는 ±2° 이하 이어여야 한다.
8) 활차의 지지대는 균열, 파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1.2.8) 무대장치제어시스템
1) 제어판넬과 조작장치로 구성되며, 정확하고 원활한 제어가 가능할 것
2) 제어반은 건조하고 전기 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3) 전기시설의 노출 도전부 및 외부 도전부는 감전 방지를 위하여 보호 본딩 접지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4) 제어반 및 조작반이 설치된 장소는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한다.
5) 무대기계 조작반은 무대시설의 운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6) 조작자가 무대기구의 작동 상태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표시되어야 한다.
7) 차단기, 과전류 계전기 등과 같은 전기적 안전장치는 부하전류에 의한 손상이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외부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1.2.9) 전후진이동장치
1) 구동부 부분 이동장치와 활차 부분 이동장치는 동시에 작동될 것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퀴가 이탈되자 않는 구조일 것
3) 전동기는 설계 하중 이상의 무대장치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할 것
4) 전동기에 인입되는 전선은 전선관 또는 후렉시블로 보호되어 노출되지 않아야 할 것
5) 마찰바퀴는 주행 레일에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로 구동될 것
1.2.10) 이동식 수직활차
1) 활차의 레일에서 이동식 수직활차가 적재중량에 의하여 이탈되거나 변형이 되지 않을 것
2) 이동식 수직활차의 위치 고정볼트는 적재중량을 매달고 승·하강하는데 이동식 수직 활차의 위치가 변하지 않을 것
3) 그리드에서 활차 위치 고정볼트의 체결이 원활 할 것
1.2.11) 트롤리
1) 트롤리는 무대장치의 적재중량을 가지고 승·하강하는데 있어서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것
2) 트롤리는 무대장치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그리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것
3) 전·후진 이동장치에 의하여 이동함에 있어서 레일에 끼임과 이상 소음이 없어야 할 것
1.2.12) 그리드아이언
1) 그리드 프레임 및 부속품은 KS에서 규정하는 SS40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규겸품을 사용해야한다.
2) 그리드 부재는 휨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3) 그리드에 설치된 철망 등 조밀구조물은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4) 그리드 프레임, 행거 및 채결도구는 산화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5) 이동식 무대장치의 그리드 아이언은 수직 활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점검용 도어가 설치되어야 한다.
2) 부하(정격전류 안전성) 시험
1) 전동기기 작동 중 부하 전류 값은 정격전류 ±10% 이내로 작동할 것
2) 전부하 전류를 측정 할 때는 각각의 상의 평균값 한계치를 측정한다.
3) 무대장치를 정격하중, 정격속도로 상승, 하강시 각상의 부하전류값은 정격전류 이하이어야 한다.
전동기 용량 (KW) | 전류값 380V (A) | 신청 제품 |
0.4KW*4P/380V | 1A | (이동무대:0.4KW) |
1.5KW*4P/380V | 3.6A | |
2.2KW*4P/380V | 5A | |
15KW*4P/380V | 31.5A | |
18.5KW*4P/380V | 38A |
3) 절연저항
충전부와 비충전 금속부 사이의 절연저항을 500V 절연 저항계로 측정하고, 5M옴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다.
4) 속도 (m/min)
1) 정해진 구간내에 시간을 측정 속도로 환산하여 지정속도의 ±3% 이내가 되는지 확인 한다.
(1) MS.EC S18.5 : 구동부를 0~72m/min 속도 운용시 측정속도는 지정속도의
±3% 이내 이어야한다.
(2) MS.EC D2.2 : 구동부를 승강거리 5M에서 10m/min~13.6m/min(11.8m/min)
속도 운용시 측정속도는 지정속도의 ±3% 이내 이어야한다.
(3) 이동장치 : 구동부를 3.9m/min 속도 운용 시 측정 속도는 지정 속도의
±3% 이내 이어야한다.
2) 이동속도가 정속인 경우 허용 적재하중이 적용된 상태에서, 정상상태 구간에서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KS A 6113/7.1)
3) 이동속도가 가변인 경우 허용적재하중이 적용된 상태에서 최대 운전속도와 설정가능 속도에 대하여 정상상태 구간에서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KS A 6113/7.1)
4) 속도의 편차는 최소 10회를 측정하여 평균값과 개별 측정값의 최대 편차를 취한다. (KS A 6113/7.11)
5) 무대시설의 작동은 1회 왕복 운전 후 30초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한 다음 시험을 실시한다.(KS A 6113/7.11)
5) 소음 (dB(A))
1) 소음도 측정 마이크폰은 소음원에서 1m 떨어진 장소에 소음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소음원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규정 소음 이하인지 확인한다.
구동부의 소음도 기준값 (KS A 6112 표4)
전동기 용량 (KW) | 소음도 기준값 (dB(A)) | 신청 제품 |
3.7 이하 | 73 | |
3.7 이상 ~ 7.5 이하 | 80 | |
7.5 이상 ~ 15 이하 | 85 | |
15 초과 | 85 |
2) 측정은 암소음 및 주위에서의 반사음이 되도록 적고 또 변화가 적은 장소를 선택하며 탄성체 위에서 하는 것으로 한다.
3) 측정 소음도와 암소음도의 차이가 10dB 이상일 때는 암소음의 영향을 무시하며 그 차이가 10dB 미만일 때는 다음 표에 따라 보정하여 대상음의 소음을 추정한다. 양자의 차가 3dB 미만일 때 측정값에는 신뢰성이 없다.
암소음의 영향에 대한 보정 (KS C 1502, KS C 1505)
단위 :dB
측정 소음과 암소음의 차 | 3 | 4 | 5 | 6 | 7 | 8 | 9 |
보정값 | .3 | .2 | .1 |
4) 소음도의 산출 방법 : 소음도가 변동할 때에는 측정값의 산술 평균을 소음도를 결정하며 이상 소음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다.
6) 진동시험
1) 최대속도에서 승강장치의 감속기 표면과 드럼 지지대의 최대 진폭값을 진동계로 측정하여 2.8mm/s 이하 일 것.
2) 설치 : 중량 400kg 이하 탄성체 위에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정반 위에서 측정도 가능하다.
3) 중량 400kg 이상 정반위에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공급 전원 : 사인파형으로 전압의 불균형, 급격한 변동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5) 측정법 진동계는 사용 범위에서 최대 진폭의 0.1 이하의 최소 지시 눈금을 갖는 것을 선정한다.
6) 측정위치 : 진동의 측정은 가능한 한 베어링에 가까운 부분에서 상하방향, 횡방향 및 축방향에 대하여 측정한다.
7) 산출법 : 각 측정값 중 최고값을 전동기의 진동값으로 한다.
8) 계측기기 : 실효값 검출 회로를 내장하고 실효값을 표시하는 계측기기 실효값 또는 평균값 검출 회로를 내장하고 피크.피크 또는 피크를 읽도록 눈금을 가진 계측기기. 눈금 조절은 실효값, 평균값, 피크.피크, 피크값 사이를 사인(sin) 관계로 가정하여 이우러진다.
7) 온도상승 (℃)
1) 정격하중과 정격속도로 100회 상승 및 하강 운전 후 전동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2) 구동시험 후 전동기의 표면 온도는 50 ℃ 이하이어야 한다.
3) 구동시험 후 감속기 케이스의 입력축 과 출력축에서의 온도를 주위온도 38℃이하에서 측정하여 온도가 50 ℃ 이하이어야 한다.
4) 구동시험 후 제동장치(브레이크)의 표면 온도는 50 ℃ 이하이어야 한다.
8) 상승하강 감시장치 성능
1) 구동시험시 조작반에서 상승하강 감시 장치에 정지 명령을 내리고 정해진 구간에서의 움직인 거리는 +5mm 이내가 되는지 확인한다.
2) 비상정지 응답거리는 최소 30Hz의 샘플링으로 5회 이상 측정하여 최대값으로 평가한다. (KS A 6113,7.5)
9) 브레이크 성능(mm)
1) 구동시험시 조작반에서 정지 명령을 내리고 정해진 구간에서의 움직인 거리는 +3mm 이내가 되는지 확인한다.
2) 구동시험시 조작반에서 비상정지 또는 차단기를 내리고 정지신호로부터 움직인 거리는 +3mm 이내가 되는지 확인한다.
3) 비상정지 응답거리는 최소 30Hz의 샘플링으로 5회 이상 측정하여 최대값으로 평가한다. (KS A 6113,7.5)
10) 내구성
1) 10,000회 운전시험 후 구동부의 조립에서 볼트의 풀림 및 조립상태가 변화되었는지 확인하고 감속기의 누유가 없는지 확인한다.
11) 구동시험
11.1) 내구성
- 정격하중 및 운전속도로 승강 장치를 10,000회 승·하강 시킨 후 승강장치가 정상 작동
1) 무대시설은 상승, 하강을 10,000회 실시한다.
2) 무대시설의 행정구간은 의뢰자가 제시한 내용으로 실시한다.
3) 무대시설의 승강 동작의 작동은 상승 후 10초 이후 하강을 실시하며, 이후 20초 간 정지 상태를 유지한 하는 방법으로 상승, 하강 동작을 반복한다.
11.2) 전·후진 이동 이동장치 100회 반복 작동 시험
- 무대장치를 바튼(batten)자중, 정격속도인 상태에서 구동부 부분 및 반대 쪽 끝부분 활차 부분 이동장치를 구동하여 전·후 이동거리 1m를 왕복 1회로 하여 100회 반복 작동시험을 하고 100회 작동 중 정상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1) 이동장치 전·후진 이동은 이동거리 1m를 반복시험으로 100회를 실시한다.
2) 이동장치의 행정구간은 의뢰자가 제시한 내용으로 실시한다.
3) 작동시험은 바튼 자중을 정격속도 상태에서 행정구간에서 전·후 왕복을 1회로 하여 100회 작동 중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12) 상승·하강 감지장치
- 운전 중 감시 장치가 작동하도록 무대장치를 설정하고 정격하중, 정격속도로 운전 중 감시 장치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전동기는 즉시 정지하는지 확인한다.
1) 승,하강 감지장치 작동시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는지 검사한다.
2) 승,하강 감지장치 작동은 정지위치와 안전위치의 구간 내에서 작동이 되어야 한다.
3) 승,하강 감지장치의 작동은 승,하강 리미트 작동 후 바로 작동이 되어야 한다.
4) 무대장치를 정격하중, 정격속도에서 작동을 해야 한다.
13)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감지장치
- 와이어로프가 드럼 홀에 정상적으로 감기지 않고 다른 와이어로프에 올라타거나 다른 홈으로 이탈되면 롤러가 뒤로 밀리면서 마이크로 센서가 작동하여 전동기의 동작을 즉시 멈추는 것으로, 정격하중, 정격속도로 운전 중 와이어로프를 이탈되었을 때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전동기가 즉시 정지하는지 확인한다.
1)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감지장치가 작동되면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는지 검사한다.
2)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감지장치는 와이어로프가 손상되지 않도록 즉시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와이어로프가 찍힘이나 눌림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3) 감지장치의 작동시 조작판넬이나 조작반에서 임의로 해제가 되면 안 되고 반드시 이상을 조치한 후에 조작이 되어야 한다.
4) 무대장치를 정격하중, 정격속도에서 작동을 해야 한다.
14) 와이어로프 절단 및 처짐 감지장치
- 와이어로프가 정상적인 장력으로 감기지 않고 절단이나 처짐이 발생하여, 와이어로프 절단 및 처짐 감지장치에 와이어로프가 접촉하게 되면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전동기가 즉시 정지하는지 확인한다.
1) 와이어로프 절단 및 처짐 감지장치가 작동되면 전동기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즉시 작동되는지 검사한다.
2) 와이어로프 절단 및 처짐 감지장치는 와이어로프의 킹크 꼬임 또는 이탈 등을 감지하여 작동 되어야 한다.
3) 감지장치의 작동시 조작판넬이나 조작반에서 임의로 해제가 되면 안 되고 반드시 이상을 조치한 후에 조작이 되어야 한다.
4) 무대장치를 정격하중, 정격속도에서 작동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