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1 특고압 및 저압 일체폐쇄형 배전반
가. 형 식
큐비클은 옥내 자립일체폐쇄형으로 하며 IEC 1330에서 규정하는 하기등급 이상의 것이라야 한다.
나. 구조 및 형식
1) 사용재질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제 2종[KSD 3503 SB41 P]을 사용한다.
DOOR : STEEL 3.2T
BODY : STEEL 2.3T
큐비클의 골조 및 내부 프레임 : STEEL 1.6T이상
2) 운반, 설치, 운전 등의 심한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3) 각 큐비클 특고반은 아크릴 보호 커버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충전부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4) 큐비클의 문손잡이는 Push Turn Type 열쇠부이어야 한다.
5) 큐비클 구조는 특고압 및 저압 일체폐쇄형의 Compact한 적층 구조이어야 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기기들은 특고압 부분에는 복층 배치, 저압부분에는 분기회로를 일체화 하는 구조로써 특히 변압기는 베이스에 고정하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방진고무를 설치해야 한다.
6) 각각의 충전부는 절연거리가 충분하여야 하고, 특고압 부분의 모선은 23kV 절연 공기 수축튜브로 절연하고 기기의 지지물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정해진 충격전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볼트 연결 부위에 특고압 부츠를 붙여야 하며, 모든 충전부는 오랜기간 동안에도 절연 저하가 없어야 한다.
7)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큐비클의 크기는 계약자의 추천에 의해 책임 감독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용이하게 운송하기 위해 적당한 크기로 분리시켜도 좋다. 또한 일상적인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1차 케이블 인입구에는 점검도어를 설치하여야 한다.
8) 각 큐비클에는 반내 조명램프 및 제어회로용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9) 큐비클 문에도 자물쇠가 있는 손잡이를 시설하고, 3단계의 안전장치를 갖춘 키핸들을 사용하여 문의 빈번한 개폐에도 손상이 없어야 한다.
10) 접지단자 함은 총 8회로를 큐비클 측면에 내장하여야 하며 4회로는 공통 접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기기 및 외함은 완전하게 접지 시공을 완료하여야 한다.
11) 저압 측에는 계기 및 스위치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를 설치하며, 특고압측은 내부 문개폐 없이 TR, MOF, AISS 등을 일상관리 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를 설치 하여야 한다.
전후면 DOOR의 유리는 유리 고정틀에 삽입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미관이 미려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12) 도장
철판의 산화막을 완전히 제거하고 정전분체도장을 하여야 하며 표면이 미려하게 도장 되어야 한다.
* 도장두께 : 40~60㎛㎛:
* 외 부: 밝은 회색 (MUNSELL NO. 5Y 7/1)
* 상 부: 밝은 회색 (MUNSELL NO. 5Y 7/1)
* B A S E : 밝은 회색 (MUNSELL NO. 5Y 7/1)
다. 모 선
1) 재 질: 98% 이상 도전율을 갖는 전기동으로서 도체의 전류용량은 단락 전류치 이상이 어야 한다.
2) 표면 처리: 도전율을 높이기 위하여 접촉부 전체 은도금 또는 주석도금 처리 후 색상 LABEL(TAPE)로 상을 구분한다.
R상 | S상 | T상 | N상 | |
(내선규정) | 흑 | 적 | 청 | 백 |
(한전규정) | 적 | 백 | 청 | 흑 |
라. 접지 모선
접지 모선은 공통접지 모선으로 하는 반면에, 하부는 열반 가능구조로 Bus Bar를 사용하며,
함의 측판은 반드시 볼트 용접 후 접지를 시공한다.
마. 지지 애자
특별고압 지지애자는 애폭시 성형몰드 애자로 정격전압 24kV를 사용하고 저압용 및 고압용은 모선간격, 기계적 강도, 대지간 절연내력이 충분하도록 취부하여야 한다.
바. 조 명
배전반 내부조명은 백열등을 설치하되 외부에서 문 개폐와 동시에 점멸 되어야 한다.
사. 명판
* 명판은 아크릴판에 흑색바탕에 백색문자가 나타나도록 한다.
* 반의 명판은 반의 전 후 상부에 Bolt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하여야 한다.
* 명판SIZE : W350mm*H60mm*5T
아. 변압기의 설치
변압기에는 인출용 인양고리를 만들며 전기적, 기계적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후렉시블 전선으로 연결하며 바닥에는 진동흡수용 고무패킹을 시설하여야 한다.
자. 절연 Plate
특고압 큐비클에 내장되어 있는 한류형 Power Fuse는 반 내에 설치하고, 각 반의 Arc를 차단하기 위하여 절연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차. Safety Board
각 반 내부에는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투명 아크릴 보호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Ⅱ.2 저압 페쇄형 큐비클
1. 형식
큐비클은 옥내 폐쇄자립형으로 하며 KEMC 1107에 기술되어 있는 형식이라야 한다.
2. 구조 : 전항 Ⅱ.1 절 1 ~ 14항에 준한다
3. 정격 : 정격전압은 AC600V이하이며 정격차단용량은 계통의 단시간 단락전류에 견딜 수 있는 용량이상이어야 한다
Ⅱ.3 동력제어반(MCC)
가. 형 식
옥내용 수직자립 인출 편면형
나. 구 조
(1) 본 MCC는 각 단위 회로별로 주회로 개폐기와 제어장치를 갖추어 600V 이하의 선로에 연결된 전동기 제어 및 보호를 하여야 한다.
MCC는 SELF STANDING TYPE으로 폐쇄 금속박스 안에 내장한다.
(2) 모든 부하단자 및 제어단자는 MCC안의 단자반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3) 제어 유니트에는 보호용 차단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4) MCC에 사용한 유니트는 집합형으로 개별로 구분하여 시설 하여야 한다.
(5) 차단기나 개폐기는 전면에서 조작토록 하고 조작시 감전 등의 위험이 없게 하여야 한다.
(6) 전면문에는 내부 경첩을 구비하여야 한다.
(7) MCC의 외함은 열간압연강으로 만들고, 구조재료는 자중이나 운전 시 충격에 견딜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추어야 하며, 강판두께는 다음과 같다.
구 조 부 강판최소 두께(mm)
측 면 1.6
밑 면 1.6
윗 면 1.6
전 면 2.0
기 타 1.6
(10) 모선은 동으로 하고 모든 부분은 은도금 또는 주석도금을 하며, 정격전류 및 정격단시간전류에 대한 충분한 용량과 강도를 가져야 한다.
(11) MCC에 사용되는 절연 케이블은 다음과 같다.
* 주 회 로 : 최소 4.0㎟ 이상의 비닐절연전선(IV) 또는 KIV전선
* 제어회로 : 최소 2.5㎟ 이상의 비닐절연전선(IV) 또는 KIV전선
(12) 각 유니트의 문에는 장치명 및 전압을 나타내는 명판을 갖추고 각 판넬은 용도를나타내는 명판을 구비하여야 한다.
4) 정 격
정격전압 : AC 600V
정격단시간전류 : 계통 단시간전류에 견딜 수 있는 용량
제어전원 : AC 200V
5) 전원 인입 및 인출방식
(1) 인 입 : 하부
(2) 인 출 : 하부
Ⅱ.4 분 전 반
1. 분전반은 특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KS C 8320에 적합하여야 하며, 전기방식, 개폐기
의 종류, 용량 등이 표시된 제작시방을 감독관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2. 외함 및 구조
가. 외함에는 접지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보호판에는 저압배선용 차단기 또는 누전 차단기의 회로 구분을 위하여 명판을
꽂을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다. 외함의 박스, 전면 태, 도어, 커버 및 보호판에 사용하는 강판의 두께는 정면
의 면적에 따라 다음 표에서 제시한 값 이상으로 한다.
(주) 접어 구부림, 리브 가공 등으로 보강한 것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을 사용
하는 경우는 ( )의 값을 적용하여도 좋다.
정 면 의 면 적 ( ㎠ ) | 강 판 의 두 께 ( 호 칭 ) ㎜ |
1,000 이하 | 1.0 ( 0.8 ) |
1,000을 초과 2,000이하 | 1.2 ( 1.0 ) |
2,000을 초과 하는 것 | 1.6 ( 1.2 ) |
라. 재질
- BOX - STEEL 1.6mm OR SUS 1.5mm
- DOOR : 컬러는 감독, 감리원 지정색상
마. 보호판은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STEEL 1.6T 철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바. 재료 및 부품
1) 분전반은 구조가 튼튼하고, 각 부는 쉽게 헐거워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
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 분전반은 내판에 과전류차단기, 개폐기 등을 배치하고 견고하게 부착하며,
아크릴 보호판 등에 의해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조작이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3) 배선의 접속은 속결 체결형 소켓에 의하여 체결되어야 하며 상 구분용
페인트를 BUS-BAR에 각인하여 칠하여야 한다.
4) 분전반 내 배선용 공간은 배선이 지장이 없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시설한다. 충전부는 최대한 노출되지
5) 문을 연 상태에 있어서않도록 한다.
6) 충전부의 간격은 다음에 의한다.
- 충전부와 비충전 금속체와의 간격 및 이극 충전부와의 간격은 공간, 연면
공히 10㎜ 이상으로 한다.
- 제어회로 등의 충전부는 KSC 0704에 의한다.
- 분전반 내 연결도체 상호간은 속결 체결형 소켓에 의하여 체결되어야 하며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사. 도전부
1) 도전부(모선 및 분기도체)는 BUS-BAR 를 사용하여야 하며 은도금 또는 주석 도금 하여 사용한다.
2) 모선 및 분기 도체의 도전율은 96% 이상이어야 하며, 모선 및 분기도체의
정격전류에 대한 전류밀도는 KS C 8320의 규정에 따른다.
3) 모선 및 분기도체는 병렬도체로 하여서는 안되며, 병렬도체로 사용하는 경우
정격전류가 400(A)를 넘는 경우에 한하며, 병렬도체는 동일 굵기, 동일 길이
의 것으로 한다. 단, 3선 이상의 도체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분기도체(중성선용은 제외)를 모선에 연결할 때에는 각 상모선의 순서대로
부하평형이 되도록 연결하여야 한다. 다만, 설계도면에 별도로 표기한 경우
는 예외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