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동제어 공사

카테고리 없음

by 유태휘수 2024. 10. 29. 19:20

본문

반응형

2.공사사항
2.1 기기설치 공사
2.1.1 자동제어기기 설치 공사
온도 및 습도검출기
1삽입형 온도검출기는 조절부 본체와 감온부로 구성되며, 감온부는 도압관과 감온통을 가진 모세관형 또는 감온부가 본체에 고정된 형으로 한다.
감온부 및 검출부를 배관에 설치할 때에는 보호관을 사용하며, 감온통을 덕트내에 설치 할 때에는 감온부 지지구를 사용하고 모세관형일 때에는 도압관이 파손되지 않도록 잘 보이는 곳에 시공하고, 진동이 없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조절밸브
조절밸브의 조작기는 원칙적으로 수직으로 설치하며, 부득이한 경우에 경사지게 할 때에는 전동 모터의 축은 수평이 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조절밸브의 주위는 점검 및 수리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일산화탄소 검출기
지하주차장에 설치하며, 오류 없이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2.1.2 전선관
전선관은 KSC-8401에 의한 KS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선관의 굵기는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의 내부 단면적의 40% 이하가 되도록 한다.
관의 굴곡 반경은 관내경의 6배 이상으로 하고 굴곡각도는90°를 넘어서는 안되며, 1구간의 굴곡개소는 3개소 이내로 하고 굴곡각의 합계는 270°를 넘어서는 안되고, 90°굴곡부분에서는 28Φ 이상부터 노말밴드를 사용한다.
관을 조영재 위에 부설할 때는 새들 또는 행가를 사용하고 설치간격은 2M 이내로 한다.
배관의 1구간이 20M을 넘는 경우 또는 시공상 필요한 곳은 BOX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박스 및 부속품의 접속은 나사로서 접속한다.
2.1.3 가요 전선관
일반 고장력 Flexible Tube와 Connector를 사용한다.
관 및 그 부속품의 단구는 매끈하게 하여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한다.
관상호의 접속은 Flexible Coupling을 사용하며, Sensor, Actuator등의 접속은 Box Connector를 사용 하여야 한다.
관을 조영재에 부설할 때는 일반적으로 새들 또는 행거를 사용하며, Mounter 등으로의 고정은 원칙적으 로 금한다.
금속관 끝에서 Sensor, Actuator 등 까지의 가요전선관 길이는 1M 이내로 하며, 0.5M 간격 이내에서 가요 전선관을 지지한다.
2.1.4 배선공사
배선은 전기설비 기술수준, 내선규정 및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위험물 제조소 등 시설의 기준 등에 관한 규칙 등을 준수하여 설계도 및 시방서에 의거 시공한다.
전선, 케이블 및 코드는 특이한 것을 제외하고 K.S규격품을 사용한다.
전선 접속에 사용되는 테이프 커넥타, 단자 및 납땜 등은 규격에 적합하여야 하며, K.S 규격이 없을 때는 감독관의 지시에 따른다.
심선과 기기단말 접속은 전선의 규격에 맞는 압착단자를 반드시 사용한다.
비닐전선 등은 피복을 와이어스트립법이나 연필 깍기법으로 벗긴다.
전선의 분기 또는 접속은 분전반, 풀박스, 아웃트렛트 박스 또는 케이블 전용의 조인트 박스 안에서 한다.
계장 신호용 전선과 전원선(MCC기동/정지용 조작선, 220/100V 전압이 실린 상태 감시용 접점 Line)등과는 동일 관로에 시설하여서는 안 된다.
계장 신호용 전선 및 전선관은 일반 동력선과는 300mm 이상 이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Cross 부분 제외), 부득이한 경우에는 감독관과 협의하여 포설한다.
2.1.5 단말처리
모든 전선의 단말에는 “Y"형 환형 또는 PIN형의 압착단자를 취부 하여야 한다.
단자 압착에는 압착용 기구를 사용하여 압착하여야 하고, 니퍼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임시방편의 시공 등은 할 수 없다.
모든 기기 류에는 단자의 나사가 충분히 조이도록 하고 진동 등에 의해 불안정한 부분에는 스프링와셔를 사용하여 조이도록 한다.
모든 전선의 단말에는 전선의 식별이 용이토록 Numbering Tube를 삽입 후 도면에 명기되어 있는 번호를 반드시 기입하여야 한다.
2.1.6 DDC판넬 설치
일반
Panel의 운반 설치 시 전도, 낙하 접촉 등에 의한 사고 재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신중히 취급한다.
설치전의 보존은 통로의 장해가 없도록 하고 낙하물 등에 의한 손상, 빗물, 습기 등으로 인한 절연저항 저하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소운반
기기를 들어 올리는 와이어로프는 손상이 없게 충분한 강도를 가진 것으로 사용하며, 걸고리 위치를 충분히 검토해서 본체의 찌그러짐이나 부속품등의 파손이 없도록 주의한다.
설치 및 부착
설치 및 부착은 설치도에 기준하여 기초 기준면의 수평 및 수직인 동시에 기준 축선으로부터 위치를 정확히 잡아 설치한다.
설치 완료 후는 외상, 기능불량, 파손 등의 유무를 점검함과 동시에 체결부의 완전체결을 행한다.
설치장소는 빗물, 습기, 침수 등에 의해 손상이 되지 않는 장소를 선택 설치한다.
제어반의 주위에는 보수 및 관리에 충분한 공간을 두고 앵커 볼트(Anchor Bolt)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 시킨다.
배선을 할 때에는 외부 배선과 반 사이의 배선에서 유도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제조자가 지정하는 공법으로 시공해야 한다.
앵커 볼트는 원칙적으로 몰탈 유입 후 필요한 양생기간(5-6일간)을 두고 가체결(임시체결) 하고 다시 5일 후에 본 체결을 한다.
벽부형은 원칙적으로 가대가공을 한 뒤 고착시키고, 콘크리트 또는 목조의 조영재의 경우는 직접 부착시켜도 된다.
2.1.7 인터콤 공사
인터콤 설치공사는 K.S에 준하여 행한다.
인터콤 자기의 설치는 DDC PANEL 전면에 설치한다.
배선 및 배관은 일반 시방을 준하며, 잡음이 유기되지 않도록 전원 혹은 동력선과의 이격거리를 충분히 유지하도록 한다.
인터콤 모기의 단자대는 중앙감시용 책상 안쪽 측면에 설치하며(전원부포함),Cable 지지는 Mounter를 사용치 말고 합성수지 새들로 견고히 고정하고 외관상 미려하게 시공한다.
기타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감독관과 협의하여 결정한다.
2.1.8 방재실 전원공사
Host 전원은 주변기기(프린터, 모니터)를 포함하여 전체 220VAC로 한다.
전원 콘센트는 컴퓨터용(노이즈 필터 내장된 멀티콘센트)으로 연결하여 중앙감시 장치 테이블 후면에 고정한다.
전원은 DDC용과 Host용을 구분하여 정격 NFB를 별도로 설치한다.
전원의 연결이 흔들림과 접촉 불량이 있을 경우, Host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견고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가급적 플러그 연결은 배제한다.
Cable 지지는 Mounter를 사용하지 말고 합성수지 새들로 견고히 고정하고 외관상 미려하게 시공한다.
인입전원
전원이 부하의 이상으로 흔들리는 경우는 배제하며, 안정된 공급원으로 연결한다.
N, PH상은 전선의 색상으로 구분하며, 제3종 접지선을 DDC Panel 및 Host 접지와 연결한다.
별도의 UPS를 설치하는 경우, Line NFB는 따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동일 현장의 모든 DDC는 N, S가 일치되어야 한다.
BA용 접지는 건물 외부에서 중앙감시실, 기계실 DDC Panel까지의 별도 3종 접지는 전기공사에서 제공하고 중앙감시실부터 각 현장 말단까지의 접지배선공사는 자동제어 업체에서 시공한다.
2.2 관련 타 공사와 작업 구분
계장공사와 타 공사(설비, 전기 건축 및 기계 제작자)와의 시공 부분은 다음과 같다.
제어장치항목은 적용된 기계장비 및 자동제어 설계적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2.1 계장공사와 설비공사

번호제어장치설비공사계 장 공 사
검출구,
조절구 설치
몸체 설치검출기 설치계기,
조절기 설치
계장용 전기 배관 및 배선
1온도검출기

2습도검출기

3조절밸브

4수위조절기
5이온화연감지기

2.2.2 계장공사와 전기공사

번호제어장치전 기 공 사계 장 공 사
개폐기 설치전원 인입 공사스위치 설치제어용 보조 접점 설치접지설치 및 제공전원 인입 공사계장용 전기 배선 공사제어반 설치
1중앙감시반

2원격제어반


3모터기동정지

4차단기개폐

2.3 배관, 배선 자재
2.3.1 배관 자재
전선관 (BC) : 16, 22, 28, 36
KS 표시의 후강 전선관 (KSC 8401)
KS 표시의 후강용 카플링 (KSC 8410)
록너트 (KSC 8404)
부싱 (KSC 8402)
노말밴드 (KSC 8406)
써비스엘보 (KSC 8405)
아우트레트박스 (KSC 8411)
후렉시블 콘듀이트 및 콘넥타 (16C,22C)
KS 표시의 후렉시블 콘듀이트 (KSC 8422)
후렉시블 콘듀이트용 콘넥타 (KSC 8424)
2.3.2 배선 자재
숼드케이블 F-CV 4.0 / 3C (전원용)
전선 HFIX 1.5, HFIX 2.5 (제어용)
전선 TJV (TWISTED IV) 1.0 / 2C, 3C (검측용)
KS 표시의 600V 비닐전선 HIV (KSC 3302)
마이크로폰 케이블 MVVS 0.9 / 2C (2선식 데이터 전송용/INTERCOM 신호라인용)
쉴드케이블 F-CVVS 1.5 / 2C (제어용)
통신케이블 RS-485(통신용)
통신케이블 UTP CAT. 5E 4P (DDC통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