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제작시방서는 FAN COIL UNIT 기종 중 천장 카세트형에 적용한다.
일반 사항
본 시방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제조자 표준, 한국공업 규격등에 따른다.
본 기기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K.S제품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K.S품이 없는 경우는 국내에서 구매 가능한 최고품을 사용한다.
구성 부품
N외부 케이스
열 교환기(Coil)
송풍기
전동기
조작 스위치
Main PCB
Drain 처리장치
Interior Grille Panel(1방향 슬림형 별도 점검구포함)
Air Filter
기타
구조 및 재료
표준 사용온도 및 습도조건
구분 | 온도조건 | 습도조건 | 비고 |
사양 | -15℃ ~ 50℃ | 0 ~ 95% (RH) |
사용유체 온도 : 5 ~ 80℃
외부 케이스 및 후레임
케이스는 해체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형으로 한다.
케이스는 진동과 열에 충분히 견디고 소음이 적으며, 부분품의 교환, 보수, `점검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케이스 내부에는 단열을 할 수 있는 난연성 Polyurethane Foam 을 부착하고 단열을 위하여 Styrofoam으로 보온한다.
케이스는 0.8t, 1.0t 아연도 강판을 사용한다.
본체는 천장걸이형으로 상부에 행거용 구멍(4개)을 구비하고, 자체 중량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열교환기 (Coil)
열교환기는 Multi-Pass Cross finned Tube Type으로 냉수, 온수 겸용으로 설계, 제작한다.
코일은 환형(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한다.
냉, 온수에 대한 내식성이 강한 이음매 없는 인탈산 동관을 사용하고 휘어지지 않으며, 진원이어야 하며, 사용상 유해한 결점이 없는 것으로 치수 및 기타 제 특성은 KSD5301에 준한 것을 사용한다.
코일은 사용 상태의 압력, 온도, 진동에 충분히 견디는 구조로 한다.
Fin은 부식 방지를 위하여 양면 수지 Coating Fin을 사용하며, 역 Burring되고, Fin 피치는 일정하여 열효율이 좋게 한다.
동관과 Fin의 접촉은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확관기를 사용, 완전 밀착되도록 한다.
코일의 상부 헤더에는 황동제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Coil내 공기를 제거 할 수 있게 한다.
코일은 완성 후 기밀시험(질소압15Kg/Cm²에서10분간)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사용 재질 및 규격
동관 : 이음매 없는 인탈산 동관 ( 순도 99.9%, 3/8“ x 0.35t KS D 5301)
Fin : 알루미늄 (순도 99% 0.12t ks D 6701)
헤더 : 단조 황동 주물 (PF3/4")
송 풍 기
FAN은 ABS 재질의 저소음의 일체형 원심식을 사용한다.
(1way는 cross type)
FAN은 Balancing Machine에 의하여 평형을 잡아 진동 및 소음이 적도록 한다.
전 동 기
BLDC 모터로, B종 절연 반밀폐형으로 제작한다.
전동기 자체 소음은 거의 없도록 하여야 한다.
전동기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Motor를 사용한다.
고정자 코일을 전동기에 부착하고 케이스 구조를 냉각이 용이하도록 제작한다.
조작 스위치
무선 리모컨 Type - OPTION 사양
공사비용 절감과 사용자의 편리함을 위하여 무선 리모컨을 사용한다.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IR) 방식을 사용한다.
무선 리모컨은 희망온도, 운전상태 및 풍량 표시기능이 있어야 하며, 각각의 조절도가능하여야 한다.
풍량을 자동 설정시에는 실내온도와 희망온도 차이에 의해 강풍, 또는 약풍으로 풍량이 자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토출 풍향을 자동 및 수동으로 조정 할 수 있어야 한다.
고정형 리모컨 Type - OPTION 사양
벽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며 1개의 조절기로 다수의 장비를 제어한다.
조절기에는 희망온도, 운전상태 및 풍량 표시기능이 있어야 하며, 각각의 조절이 가능하여야 한다.
풍량을 자동 설정 시에는 실내온도와 희망온도 차이에 의해 강풍, 또는 약풍으로 풍량이 자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Main PCB
마이콤을 내장하여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전보상 기능
운전 ON/OFF 상태, 운전상태(냉방,난방,송풍), 풍량선택(터보,강,중,약), 등을 설정해놓으면, 정전 후나 메인전원을 차단 후, 다시 ON시 OFF 되기전의 상태를 기억하여운전되는 정전보상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동파 방지 기능
운전이 정지되고, Main 전원에 전원이 들어와 있을경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5℃ 이하일때는 밸브로 나가는 전원을 ON 시켜 주고, 8℃이상시 다시 OFF 시켜 주는 동파방지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통신
IR 수신모듈
적외선을 사용하여 각각의 장비를 개별 제어한다.
RF 수신모듈 (Option)
벽면에 고정 설치한다.
통신은 주파수 방식을 이용하여 1대 다수를 제어한다.
고유의 IP를 설정한다.
적절한 라우터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중앙제어가 가능하다.
드레인 처리장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스치로폼에 PVC성형품(또는 사출품) 재질로 한다.
운전 정지 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응축수에 대한 문제가 없도록 충분한 용량으로 선정하고 KS B 6377의 결로 시험조건 하에서도 Over Flow가 생기지 않도록 구성한다.
배수를 원활히 되도록 Drain Up Pump를 설치하며, Pump는 TIME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 되어야 하며,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내장되어야 한다.
배수배관 시공 시 주 배관과 가지배관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기울기 1/100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 배수용 house의 끝단엔 air vent를 설치하여 배수관 내에 에어포켓의 발생을 방지하여 배수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Interior Grille Panel
외관이 미려하고 결로 및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HIPS 재질로 한다.
토출구에는 풍향 조절 날개는 달고 swing motor를 설치하여 계절별 토출 방향을 70° ~30°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토출구의 풍량 조절 날개는 결로와 소음을 억제되는 구조로 제작한다.
토출 공기가 천장에 접촉하여 천장을 오염 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중앙부에 흡입 그릴이 설치되고 간단한 잠금장치에 의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손쉽게 탈착가능 토록 하여 필터의 세척과 장비의 점검이 용이해야 한다.
볼트를 풀거나 잠금에 의하여 탈착이 용이해야 한다.
1방향 슬림형의 천장 인테리어의 깔끔한 마감을 위해 별도의 점검구 없이 장비 점검이 가능하게 그릴 내에 장비 점검구가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Air Filter
Air Filter는 정압이 적게 걸리고 세척이 가능한 구조로 한다.
공기 여과기는 취급이 간편하고 탈착이 용이해야 한다.
기 타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응축수가 누수 되거나 결로의 낙하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여야 한다.
전동기 인출선 및 스위치 배선은 KS C 3302에 준한 것을 사용한다.
배 관
배관 방향
배관 접속은 유니온 체결 방법이며, Flexible tube Ass'y 2개를 1조로 한다.
배관 방향측에는 코일의 입,출구 및 드레인 연결구가 위치한다.
결로 방지를 위하여 Flexible tube Ass'y 배관 연결 후 노출되는 유니온과 니플 그리고 밸브는 시공자의 별도 보온이 반드시 필요 합니다.
가변 복합 정유량 밸브는 2-WAY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형태로 MAIN PCB를 통해 냉방 및 난방 유량을 각각 제어할 수 있어야 하며, OFF시 2-WAY V/V ON/OFF 기능이 있어야 한다.
공급범위
팬코일 유니트 본체 : 1 SET
Interior Grille(화장판) : 1 SET
가변복합정유량밸브 : 1 SET
조작 무선 리모콘 : 1 SET
연결 Flexible Tube : 2 SET (연결용 니플, 배관용 패킹 포함)
드레인 호스 : 1 EA
포장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