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0 | 제 트 공 조 기 ,제 트 마 이 저 |
15010 일반사항
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본 규격서는 저소음 제트공조기의 제작 설치 및 기타 부속장비에 한하여 적용한다.
1.2 물품의 설치위치
제작 승인 시 감독기관의 설치위치 선정에 따른다.
1.3 물품의 제작기준
납품자는 제작 전에 승인도면 및 감독기관이 요청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도면승인을 득한 후 제작하여야 한다.
물품업체 기준은 ISO 14001 인증업체로 구매공고일 이전에 획득한 제트 공조기가 명시된ISO 14001 인증서를 계약 전에 제출하여야 한다.
물품에 대한 특허 및 지적재산권의 권리 및 책임 의무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1.4 성능보증
저소음 제트 공조기는 등온 제트 시 기류 도달거리가 30m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30m 지점에서 풍속 측정 시 0.2m/sec 이상이 되어야 한다.시험 측정 시 감독기관은 전 항목 검사를 입회하에 할 수 있으며, 설계기준에 미흡한 경우 감독기관은 계약자에게 재검사 요청을 할 수 있다.초기검사 및 재검사시 소요되는 경비 및 납기준수 등 모든 문제에 대하여서는 계약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1.5 검 사
장비 및 부속공사에 따르는 중간검사 및 준공검사는 공사 진행 과정에 따라 감독원 요청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검사지침 및 수행 방법 등은 설계서 및 감독기관 요청사항을 기준으로 한다.불합격품이나 재시공시는 감독원 재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르는 비용 및 모든 사항은 계약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1.6 물품의 특허 및 상표
계약 상대자는 계약을 이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표 또는 및 실용신안 등 지적 재산권 문제에 있어서 일체의 책임을 져야한다.계약 발주자는 계약 상대자가 특허 및 상표 규정을 위반함으로써 발주기관이 손해를 받은 경우에는 일체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계약 상대자는 지적재산권과 별도로 발주기관에 모든 일체의 손해배상 의무를 이행 하여야 한다.
1.7 기 타
수입부품에 대한 수입검사, 통관 등 모든 절차에 필요한 행정행위 및 경비는 계약자 부담하여야 한다.
15020 제품사항(제트공조기)
1. 제품 설명 및 구성
저소음 제트공조기는 적은 설치 댓수로 대량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서 대형 공간에 대한 공조를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1 케이싱 패널 및 프레임
1.2 팬과 모터
1.3 급기분사장치
1.4 코일 및 실외기
1.5 드레인
1.6 공기여과기
1.7 제어 시스템
1.8 도장
2. 상세 제작 사양
2.1케이싱 패널 및 프레임(CASING PANEL & FRAME)
2.1.1 케이싱의 FRAME은 알루미늄 MOULD BAR를 사용하고 PANEL은 1.6t 냉간 압연 강판 (KSD-3512)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분체도장을 실시한다.
2.1.2 케이싱의 이음부는 두께 3 mm의 고무재질 스폰지를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시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1.3 판넬 고정용 FRAME은 판넬의 자중 및 풍압에 의해 변형이 없도록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2.1.4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부분에는 점검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2.1.5 보온은 케이싱 내부에 단열 및 흡음 특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터 50t 48K 를 사용하고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라스크로스(GC)를 부착해야 한다.
2.1.6 하부 BASE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KSD-3503)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규격과 구조로 제작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BASE를 분할하여 운반 및 반입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한
2.2 팬과 모터
2.2.1 특성
온도 설정 값에 따라 풍량을 0-100%까지 연속,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VAV(Variable Air Volume ; 변풍량 운전)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후곡형(Backward Curved) 임펠라와 직류로 구동되는 EC모터(Electronically Commutated)로 구성되어 고효율을 내는 외륜구동형 모터와 일체화 된 팬이다.
2.2.2 구성 부분의 재질과 성능
모터 형식
EC 방식으로 제어되는 외륜구동형
입력은 교류(AC)로 받고 작동은 DC(직류)로 하는 방식
0-10V 입력으로 모터의 회전수를 0-100% 자동제어하는 방식
임펠라 형식 : 알루미늄 재질의 고효율 후곡형
베어링 :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볼 베어링(Maintenance Free Ball Bearing)
모터 보호 등급 : IP54 이상
모터 절연 등급 : F 등급 이상
모터 과열 방지 장치 : 과열방지 접점 내장
2.2.3 급기분사장치
급기분사장치는 냉/난방 및 환기 운전 조건에 따라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류 분사 방향 조절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급기분사장치는 상·하 좌·우 각도 조절기능, 정지 기능을 갖추고 필요시 상하 조절 각도의 크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급기분사장치는 부착된 제트노즐은 기류를 선형화하여 도달거리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류 선형화 장치(특허 제10-0968499호)를 포함해야 한다.
기류 선형화 장치는 유선형 격막부와 직선형 격막부로 구성되어 기류의 완전한 선형화를 이루어야 한다.
급기분사장치는 등온 제트시 기류 도달 거리가 30m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기류 도달 거리는 30m 지점에서 풍속이 0.2m/sec 이상 유지됨을 의미한다.
급기분사장치의 제작, 조립, 판매, 설치에 대한 권리 및 의무이행, 특허 및 지적 재산권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업무처리 및 경비는 계약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
2.2.4 코일 및 실외기
GHP 코일
재질 및 기술사양ㅊ
TUBE
재 질 : Copper Tube 인탈산동 무계목, 순도 Cu 99.9% 이상
규 격 : KSD 5301, C-1220T 1/2″* 0.9T 이상
U-Bend
재 질 : Copper Tube 인탈산동 무계목, 순도 Cu 99.9% 이상
규 격 : KSD 5301, C-1220T 1/2″* 1.2T
Al Fin
재 질 : Al Plate, 순도 Al 99.16% 이상
규 격 : A 1100 ~ 0.12t
FIN PITCH : 능력에 맞는 FIN PITCH를 적용 (2.5 ~ 3.2mm)
PIPE PITCH : 능력에 맞는 PIPE PITCH를 적용 ( 27.5 * 31.8 )M/M
END PLATE
재 질 : EGI, SBHG, GI 1.2 ~ 2t
규 격 : KSD 3506
HEADER
용접 동관 : KSD 3501사용
DISTRIBUTOR
Coil의 성능향상과 고른 분배를 위해 분배기 구경 및 가지관 구경결정
재 질 : 단조용 황동 (신주)
규 격 : KSD 3712 BE
가지관 : Coil 용량에 맞는 가지관 구경과 가지관수를 선정하여 제작
재 질 : COPPER 인탈산동 무계목, 순도 Cu 99.9% 이상
규 격 : KSD 5301, C-1220T 3/16″~ 5/16″0.7t
용접봉
규 격 : KSD-8050
B-CUP-3 | |
작 업 온 도 | 705 ~ 840℃ |
액 상 온 도 | 805℃ |
은 함 유 량 | 4.7 ~ 6.3% |
제작시방
AL FIN
PROGRESSIVE 금형에 의해 타공, 절단된 상태로 제작된 Fin의 타공 치수는 아래 표와 같다.
규격 | 열(ROW) | 단(STEP) | FIN의 표면 |
5/8″ | 43.3㎜ | 50㎜ | Plate, Corrugated |
5/8″ | 33㎜ | 38.1㎜ | Plate, Corrugated |
1/2″ | 27.5㎜ | 31.8㎜ | Slit, Corrugated |
3/8″ | 22㎜ | 25.4㎜ | Slit, Corrugated |
CU TUBE
유압 확관기를 사용하여 FIN과 접촉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 시켰다.
U-BEND
BEND 내부는 유체 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굴곡, 요철 부위가 없도록 제작 한다.
DISTRIBUTOR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가 코일 내에 고르게 분배 될 수 있도록 인덱스 가공과 선반으로 정밀하게 가공하여 제작한다.
HEADER 제작
제작시 내부 저유체 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배관 끝부분이 햇다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햇다 가지관 삽입용 드릴링 작업시 스크랩 등이 잔존되지 않도록 후처리에 주의를 하여 제작하며 햇다 경판부위는 충분한 내압에 견딜 수 있도록 동판 두께의 1.5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회로 구성
냉매의 원활한 증발과 과열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적절한 1회로 상당 길이가 되도록 하여 충분한 증발 효과를 갖도록 제작한다.
용 접
SILVER 용접시 동관 내부, 외부의 표면 산화로 인한 스케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피 후락스(BL-Z)를 사용하여 용접시 얇은 후락스 피막을 생성 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며 공기를 차단하여 산화를 방지하며 필요한 내압에 충 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용접시 U-BEND가 삽입된 스웨징 부위의 내부까지 은납이 흘러들어 가도록 해야 한다.
검 수 사 항
내압 시험 : 4.51㎫
기밀 시험 : 4.1㎫
외관 시험 : Fin 의 상태는 파손 및 절취된 부분이 없어야 하고 Pitch가 고른 상태이어야 한다. End Plate는 표면 도금 상태가 양호 하여야 한다.
실외기
작동원리
각 실에 설치된 실내기의 운전 스위치(리모컨)의 운전모드를 냉방모드로 전환하고 냉방운전을 시작하면 실내기의 송풍기가 가동되며 또한 실외기가 가동된다.
실내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 한다. 실내기의 열교환기 내부에 채워져 있는 액체 상태의 차가운 냉매(R410A)는 더운 공기와 접촉하면서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여 기체상태로 바뀌고 공기는 차갑게 되어 실내기의 송풍기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 된다.(증발 과정)
기체로 바뀐 냉매는 배관을 따라 실외기에 유입되고 응축 작용이 원활하도록 압축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이동된다.(압축 과정)
압축기를 구동하는 가스식 엔진은 실내의 온도 조건이나 실내 유니트의 운전 수량에 따라 회전수가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량을 조절하며 부하를 조정한다.(엔진 압축기 회전수 제어기능)
압축기를 거친 냉매는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실외기 내의 배관을 따라 실외기 상부에 설치된 공기 열교환기(응축기)에서 실외 공기와 접촉하며 열교환 되는데 이 때는 고온고압의 액체상태로 응축 된다.(응축과정) 응축과정에서는 응축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응축열은 실외기의 상부에 설치된 FAN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발산된다.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는 배관(액관)을 거쳐 실내기로 들어가는데 실내기에 설치된 전자식 팽창밸브를 거쳐 저온 저압의 액으로 변하게 된다. (팽창작용) 전자식 팽창밸브는 실내 온도 조건에 따라 냉매량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냉매를 저온저압의 상태로 바꾸는 이유(팽창작용을 거치게 하는 이유)는 냉매가 공기와 쉽게 열교환(증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실내온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 조절장치에 의해 실외 유니트를 멈추게 하거나 실외 유니트의 운전량(엔진회전수)을 조절한다. 이 기능을 통해 실내 온도가 조절된다.
난방시
난방운전은 냉방운전의 역 사이클로 운전된다.
즉 실외기의 공기 열교환기(냉방_응축기)는 증발기로 바뀌고 실내 유니트의 공기 열교환기(냉방_증발기)는 응축기로 기능이 바뀐다.
이 기능을 바꾸는 곳이 사방변(4-WAY VALVE)이며 냉난방 전환의 주요기능부품이다.
통상 히트펌프식 에어컨에서 난방 운전 시 외기 온도가 낮으면(통상 0℃ 이하) 실외 유니트에서 증발작용이 안되며 증발이 안 될 경우는 실내에서 응축작용이 안돼 난방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GHP는 낮은 외기온도상태에서도 실외기에서 증발작용이 일어나도록 엔진 냉각수 열을 이용한 특수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매가 이 열 교환기를 거쳐 증발하기 때문에 전기식 히트펌프와는 달리 한냉 조건에서도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주요 기능부품 구조 및 설명
실외기 유니트
가스 엔진 : 엔진은 취급 및 점검이 용이하고 내구성, 신뢰성이 있어야 하며 또 엔진의 배열(排熱)을 회수하기 위해 수냉식 배기 매니폴드 및 배기 열교환기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한다. 엔진 냉각 방식은 수냉식으로 하며 냉각수와 엔진 오일은 당사 순정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압축기(COMPRESSOR): 압축기는 가스 엔진에 밸트로 연결되어 있어 밸트 구동으로 설치한다. 압축방식은 스크롤 방식이며 가동 중 용량 제어를 위해 엔진 회전에 따른 압축량 조절 및 구동 연결부인 자동식 클러치에 의해 운전-정지를 반복한다. 압축기에는 규정된 냉동오일을 사용해야 한다.
사방밸브(4-WAY VALVE): 압축기로부터 토출 되는 냉매가스가 난방 운전시는 실내 열 교환기에 접속되도록 하고 냉방 시에는 실외 유니트의 응축기에 접속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열교환기(냉방_응축기, CONDENSER) : 응축(냉방시)용 열교환기는 공냉식 열교환 방식으로 크로스 핀(FIN) 코일 방식으로 하며 FIN은 열교환 능력이 우수한 고효율WIDE LOU VER 형식으로 한다. 열교환용 동관은 인탈산 이음매 없는 동관을 사용하며 열교환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냉매여과 필터(FILTER): 냉매 회로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장치로서 내부에는 냉/난방 절환에 의한 유동방향 변경에 대응 가능한 스프링 지지구조를 갖는 구조로 한다.
FAN & MOTOR : 소정의 회전에서도 소음이 없는 구조이어야 하며, FAN은 프로펠러식으로 한다. MOTOR은 BLDC 구조로 고효율 운전이 가능하다.
기액분류기(ACCUMULATOR) : 증발기에서 증발되지 않은 액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를 분리시켜 기체 냉매만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용기이다. 액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면 액 압축 현상에 의해 압축기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일분리기(OIL SEPARATOR) : 운전에 의해 냉동사이클이 형성 될 경우 배관 내에는 압축기용 냉동오일과 냉매가 혼재되어 있는데 냉동오일은 축기의 윤활작용을 원활히 해주지만 반대로 냉매에 혼재된 상태로 증발기에 유입되면 열교환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냉매와 냉동오일을 분리시켜 오일은 압축기로 회수시키고 증발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고압스위치(HIGH PRESSURE SWITCH) : 압축기를 거친 고온 고압의 기체의 냉매가 소정의 압력(SETTING PRESSURE)을 초과할 경우 작동되는 안전장치로써 축 작용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크랭크케이스히터(CRANK CASE HEATER) :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 압축기 구동시 윤활 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고 냉매가 액상으로 압축기에 쌓여 기동시 포밍 발생과 액압축을 일으켜 압축기가 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 내의 윤활유(냉동오일)의 온도를 높여 주는 동시에 냉매를 증발시켜주는 가열장치다.
과냉각기 및 과냉각 전자팽창변 : 응축기를 거친 고온고압의 냉매에서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이중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응축냉매와 열교환을 시켜 과냉각도를 향상시키는 열교환기 (과냉각기)를 갖춘다. 이때 바이패스 된 냉매를 열 교환 가능한 증발 온도로 팽창시켜 주는 과냉각 전자 팽창변을 구비한다.
부속배관
분지관 : 멀티형의 경우 각 실내기와의 냉매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규정된 분지관을 사용하며 분관의 재질은 동관으로 하고 규격은 실내기의 용량과 소정의 시공방법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배관용 동관 : 이음매 없는 인탈산 동관(C1220T)을 사용한다.
냉매 배관 보온재 : 우수한 열 저항을 갖는 냉매 배관용 단열재를 사용해야 한다. 다습한 환경에 설치될 경우, 기준보다 두꺼운 단열재를 사용해야 한다.
냉난방기 설치
실외기
설치 전 실외기의 반입경로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확인해야 한다.
반입 시 외부 케이싱이 손상되지 않도록 외관 보호에 주의해야 한다.
지상 설치가 아닌 경우는 실외기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실외기는 콘크리트기초 통 패드, 방진고무패드와 방진가대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실외기를 설치해야 한다.(기초판 위에 방진고무패드 10t 이상)
실외기를 설치할 장소는 엔진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 위치이어야 한다.
실내설치 금지
실외기 주변은 연소를 위한 공기 흡입이 원활한 장소이어야 하며 공기 열교환기 (냉방_응축기)의 원활한 열교환을 위해 SHORT CIRCUIT가 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실외기의 주변에는 인화성 물질을 두어서는 안 된다.
실외기 가동 시 노이즈(전자파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설치 주변에 TV, 라디오 등 전자파 사용기기의 안테나, 전원선 및 신호선 등과 충분히 이격을 시켜야 한다
배관공사
냉매배관은 규격품을 사용해야 한다.
반드시 습기가 없는 질소 가스로 관내부를 불어 내어 깨끗이 해야 한다.
설치하는 중에 먼지와 물, 기타 오염물질이 관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가능한 한 관이 구부러지는 부분을 적게 하고, 구부러지는 부분의 반경을 되도록 크게 해야 한다.
반드시 분지관 세트를 사용해야 한다.
설계한 냉매배관의 분지관의 직경이 다르면 컷트기로 연결부위를 잘라내고, 확관기를 사용하여 배관을 연결해야 한다.
반드시 냉매배관 제한사항을 준수하세요. (정격배관길이, 고압/저압차, 배관직경)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품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냉/난방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접 시 규정된 규격으로 작업해야 한다.
냉매의 양이 과다하거나 부족할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서비스 시에는 항상 배관길이와 추가 냉매량 기록표를 점검해야 한다.
반드시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진공해야 한다.
반드시 단열 처리를 하세요. 단열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냉/난방 성능이 저하되고, 응축기에서 물이 떨어지게 되며, 기타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냉매 배관을 연결할 때 반드시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가 완전히 닫혀 있는지(공장 출하 시 닫혀 있음) 확인해야 한다.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냉매배관이 모두 연결되고, 냉매 누설검사와 진공처리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서비스 밸브를 열어서는 안 된다.
부품을 용접 시에 반드시 질소를 통과시키세요. 그렇지 않으면 배관 내부 용접슬러지로 인해 압축기가 손상될 수 있다.
서비스 밸브와 배관 연결 시 반드시 물수건으로 서비스 밸브를 감싼 후 용접해야 한다.
냉매누설의 우려뿐 아니라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실외기 가스배관 연결구에는 코팅스텐 주름관을 사용한다.
누설검사 및 진공시험
배관공사가 종료된 후에는 질소를 넣어(4.1㎫) 각 용접 부위 및 접속부위에 누설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누설 검사가 종료된 후에는 그 상태로 1일정도 방치하여 미세한 누설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누설확인이 종료된 후에는 진공작업을 실시한다. (진공도 -0.1㎫)
진공 작업 후 장기간 추가냉매를 충전하지 않았을 경우 냉매 충전 전에 재진공한다.
냉매충전
냉매 충전은 소정의 기준에 의해 추가로 충전한다.
추가 냉매 봉입량은 (액관)배관의 직경 및 배관길이/ 실내기 보정량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냉매를 보충할 때는 실외 유니트의 폐쇄변이 닫힌 상태에서 행한다.
냉매 보충이 종료 된 후 폐쇄변을 열 때는 액측을 먼저 열고 다음 가스측을 연다.
배선 및 제어공사
실외기 전원선 사양 및 스위치 용량
실외기구분 | 전원사양 | 전선굵기(㎜) | 누설전류 차단기 (ELCB) |
||
주전원선 | 분지선 | 접지선 | |||
1 Unit | 1상, 220V, 60Hz | 2.5 | - | 2.5 | 30A 500mA 0.1초 이하 |
2 Unit | 1상, 220V, 60Hz | 2.5+2.5 (6.0) | (2.5) | 2.5 + 2.5 | 30+30(60A)500mA,0.1초 이하 |
결선 작업 시에 주위조건(주위온도, 직사광선, 빗물 등)을 고려하세요.
전선 굵기는 금속전도 전선용 최소 굵기입니다.
특수한 결선이 필요한 경우 해당지역의 규정을 준수하세요.
실외용 기구 부품의 전원선은 KS규격품을 사용하세요.
누설 전류 차단기를 반드시 사용하세요.
개별전원 연결시 Master 실외기와 Slave 실외기간의 전원선– 최소 2.5㎟
상기 기준은 CV선 기준입니다.
조합모델에서 Slave 전원선을 Master 실외기에 분지하는 경우, ( )안의 값을 사용하세요.
전기 결선 작업
실외기간 전원 연결 예 (누설 전류 차단기 60A 설치)
실외기 개별 전원 연결 예 (누설 전류 차단기 30A x 2 설치)
시운전
실외기에 메인 전원을 5시간 이상 통전시킨 후 실시합니다.
연료가스 배관을 비롯하여 실외기의 각 밸브가 완전히 열려 있는지 확인한다.
시운전시는 다음 사항을 점검한다.
엔진과 압축기는 정상적으로 기동되는가?
이상음, 진동은 없는가? (엔진, 압축기, 배관등 등)
냉방 혹은 난방에 대한 운전을 하십시오.
효과를 확실하게 확인하십시오.
약 30분 시운전 이후, 실내 유니트의 흡입온도와 토출온도를 측정한다.(온도차가 10℃이상이어야 정상입니다.)
운전 중의 냉매압력을 측정하십시오. 일반적인 목측은 아래에 따른다.
냉방 고압 : 2.2 ~3.2㎫ 실내 27℃
냉방 저압 : 0.5 ~1.0㎫ 실외 35℃
난방 고압 : 2.0 ~3.2㎫ 실내 20℃
난방 저압 : 0.4 ~1.2㎫ 실외 7℃
드레인(DRAIN)
응축수받이(DRAIN PAN)는 두께 1.5㎜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하고, 기울기를 주어 응축수가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야 한다.
드레인 소켓(DRAIN SOCKET)은 응축수량을 충분히 배출 시킬 수 있는 규격으로 선정 되어야 한다.
응축수받이(DRAIN PAN) 하부에는 결로 방지를 위해 두께 25㎜ 이상의 보온재를 부착하고, 압축핀으로 마감하여 운반 및 운전 중 진동에 의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공기여과기(AIR FILTER)
전처리 필터(PRE FILTER)
전처리 필터 MEDIA는 섬유끼리 완전 접착된 무방향성 섬유 집합체로 소재 단독으로 사용해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특히 유출면에서 섬유가 빠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압력 손실은 초기 정압이 6㎜Aq 이하이고 여과 효율은 85%(AFI)이상의 고효율로 먼지 포집량이 많은 이상적인 밀도를 지녀야 한다.
물세척, 진공클리닉, 스프레이 세정이 의해 간단히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온․습도가 변해도 먼지 포집량과 강도, 치수 등의 물성이 변화하지 않아야 하고 난연성 제품이어야 한다.
중급 필터
여과 효율은 KS B 6141 기준으로 시험 테스트하여 99.98% 이상이어야 한다.
공조용으로 집진 능력이 좋고 말기 압력시에도 변형이 되거나 터져서 입자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견고히 제작하여야 한다.
FILTER 제작시 FILTER의 조립 상태가 견고해서 풍량에 흔들림이 없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프레임은 P.B로 제작하되 뒤틀림이 없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제어 시스템
실내기 제어반과 실외기 제어반으로 구성되며 실내기와 실외기의 통신에 의해 전체 시스템이 최적으로 운전되도록 구성한다.
실외기 제어 항목 및 기능
실외기와 실내기의 통신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이 최적으로 운전되도록 하는 실외기용 제어기로 흡입 냉매 압력, 토출 냉매 압력, 외기온도, 토출 냉매 온도 및 열교환기 냉매 온도 값을 바탕으로 전자 팽창 밸브, 송풍기, 압축기 등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실외기에 연결된 모든 실내기의 각종 운전 상태 값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자체 보호 장치 및 시스템 보호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실내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케이블을 절감할 수 있도록 냉매 회로별로 별도의 케이블 망을 구성하지 않고 실외기 간의 통신 케이블 망을 구성하여 실외기들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설치의 편의를 위해 auto-addressing 버튼을 누르면 각 실내기, 유선리모컨, 실외기에 자동으로 주소가 설정되어야 한다.
실내기 제어 항목 및 기능
제트 공조기 유선제어반(JAC-DV)
제트 공조기의 온도 설정 및 현재 온도 표시 기능.
운전 모드 설정 기능.(냉방/난방/환기 모드 지정 기능)
급기분사장치 상·하 좌·우 각도 조절 기능.
스케줄 제어 기능
풍량 제어 기능(저,중,고)
도장(PAINTING)
도장은 냉간 압연 강판에 탈지 공정에 의해 탈지한 후 인산 피막 처리하고 에폭시 폴리에스테르계 지정색을 사용하여 도막 두께 50㎛ 이상으로 분체도장을 실시한다.
케이싱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야 한다.
표면처리 및 도장 제외 부분은 다음과 같다.
스테인리스 강제 부품
알루미늄제 부품
아연도 강판제 부품
구동 시 마모될 수 있는 기계 가공면 부분
3. 인증
제트 공조기 급기 팬의 도달 거리는 20~40m이상 유지되고, 소음은 출구에서 1.5m 떨어진 지점에서 40~60dBA 이하이여야 한다.
4. 공급 범위
4.1 제트 공조기 제작 및 설치
4.2 실외기 설치 및 냉매배관
4.3 시운전
4.4 설치 시운전과 관련된 역무 범위는 아래와 같다.
항 목 | 수요자 | 제작사 | 비 고 |
1. 공조기 운반, 하역 및 설치공사 | ◎ | ||
2. 실외기 설치 및 냉매 배관 연결 공사 | ◎ | ||
3. 콘크리트 기초 설치공사 | ◎ | 필요 시 건축공사 분 | |
4. 주전원(1차측) 연결공사 | ◎ | 전기업체 공사 분 | |
5. 자동제어 연결공사 | ◎ | 자동제어 업체 공사 분 | |
6. 시운전용 전기, 가스, 물 등 필요한 UTILITY 공급 |
◎ |
5. 부속공사 시방
5.1 전기공사는 전기제법령 및 규정에 위배됨이 없이 시공하여야 한다.
5.2 전선, 전선관, 전기 부속자재는 한국공업규격(K.S) 표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K.S 규격이 없는 것은 감독원과 협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여야 한다.
5.3 제어반 자동제어 등에 사용되는 제어선은 전선과 동일 공간 배치 시 차폐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5.4 제어용 판넬이 외부노출 설치 시에는 이중 방수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15030 제품사항(제트마이저)
1. 상세 제작 사양
1.1 제트 임펠라와 모터
1.1.1 임펠라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한다.
1.1.2 모터의 보호등급(MOTOR PROTECTION)은 IP 54 이상으로 제작해야 한다.
1.1.3 모터의 절연등급(INSULATION CLASS)은 F등급 이상으로 해야 한다.
1.1.4 베어링은 급유가 필요없는 OIL FREE TYPE의 BALL BEARING으로 한다
기류 선형화 장치
유선형 격막부와 직선형 격막부로 구성되는 기류 선형화 장치는 임펠라의 직경과 회전수에 따라 각도와 크기를 다르게 제작하여 기류의 선형화 능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1차 소음기
케이싱은 냉간 압연 강판으로 원형으로 제작하고, 분체도장을 실시하며 내부 흡음망은 아연도 강판 재질의 원형 다공판을 사용한다. 내부에 환경 친화 제품인 폴리에스터 25t 48K 와 75t 24K 를 흡음재로 사용해야 한다.
팬 케이싱
냉간압연 강판 2.0t로 제작하고 분체도장을 해야 하며, 설치용 지지대를 구비해야 한다.
2차 소음기
케이싱은 냉간 압연 강판으로 제작하고, 내부 흡음망 아연도 강판 재질의 원형 다공판을 사용하며, 흡음재를 설치하고 분체 도장되어야 한다.
내부에 환경친화제품인 폴리에스터 25t 48K 와 75t 24K 를 흡음재로 사용해야 한다.
노즐
냉간 압연 강판 1.0t 이상으로 제작하고 외부는 분체도장 되어야 하며, 내부는 아연도 강판으로 제작해야 한다. 저항을 최소화 하고 유속이 12㎧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방향 제어장치 및 자동운전 장치
설치방향 조정을 위해 브라켓은 설치용 지지대와 회전가능 하도록 제작한다.
상하분사각도제어 – 제트마이저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장치와 무선송수신 장치를 부착하여 기류 분사방향의 상하각도를 무선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2.1 부속공사 시방
2.1.1 전기공사는 전기제법령 및 규정에 위배됨이 없이 시공하여야 한다.
2.1.2 마이저 전원공급용 전자접촉기에 과전류 및 결상 보호 장치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2.1.3 전선, 전선관, 전기 부속자재는 한국공업규격(K.S) 표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K.S 규격이 없는 것은 감독원과 협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여야 한다.
2.1.4 제어반 자동제어 등에 사용되는 제어선은 전선과 동일 공간 배치시 차폐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1.5 제어용 판넬이 외부노출 설치시에는 이중 방수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